본문 바로가기
질병/관절염, 오십견

스크랩 다리 뼈 떨어져 나가는 ‘이 병’… 내분비질환 있으면 발병률 높아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3. 21.

우측 고관절에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이 발생한 환자의 X-ray 사진 / 서울대병원 제공
소아청소년 내분비질환 환자는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은 대퇴골 위쪽 성장판 부위에서 대퇴골두와 그 아래 뼈가 특별한 외상 없이 분리되는 병이다. 진단이 지연되면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이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분비질환이 주요 위험 요인이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각 내분비질환 별 실제 위험도가 얼마나 되는지, 부족한 호르몬 개수에 따른 위험도는 어느 정도인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신창호 교수·이윤정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2~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내분비질환 환자 8만769명과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환자 191명을 14년간 추적 관찰했다. 분석 대상 중 내분비질환과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을 모두 가진 환자는 30명이었다.

연구 결과, 내분비질환군은 비내분비질환군에 비해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발병률이 약 4배 높았다. 특히 여아의 경우 5.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분비질환 종류별로 보면,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는 환자군의 발병률이 일반인 대비 약 65배로 가장 높았다.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은 내분비질환 진단 후 약 42개월 후 발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20% 이상 환자가 내분비질환 진단 5년 뒤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을 겪었다.

성장호르몬, 갑상선호르몬, 성호르몬 중 결핍된 호르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발병률 또한 급격히 증가했다. 정상군 대비 호르몬이 2개 부족한 환자는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발생 위험이 약 89배, 3개 부족한 환자는 약 744배 높았다.

연구팀은 내분비질환을 진단받은 소아청소년의 경우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의 발생 가능성을 장기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창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소아청소년 내분비질환 환자의 고관절 선별검사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정형외과 분야 국제 학술지 ‘골 관절 수술 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3/20/2024032001128.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