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아토피

스크랩 피부 가렵고 울긋불긋… ‘화폐상 습진’ vs ‘건선’ 헷갈린다면?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2. 22.

화폐상 습진(왼쪽)과 건선(오른쪽)은 발생 부위, 진행 속도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사진=Water’s Edge Dermatology, 클립아트코리아
피부가 가렵고, 빨갛게 일어나는 사람들이 있다. 건선, 습진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이 이런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특히 화폐상 습진과 건선은 증상이 비슷해 헷갈리기 쉽다. 두 질환의 차이에 대해 알아봤다.

◇건선보다 화폐상 습진에서 가려움 훨씬 심해  
화폐상 습진은 동전 같은 동그라미 형태의 습진을 말한다. 습진은 피부에 염증 세포가 모여 있는 피부염이다. 화폐상 습진은 다른 습진처럼 피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염증 세포가 아주 많은 상태를 보인다. 화폐상 습진을 겪는 환자들은 극심한 가려움증을 겪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이갑석 교수는 “최근에는 건선 환자 중 가려움증을 겪는 환자도 있기는 하다”며 “다만, 절대적으로는 습진이 더 가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가렵다고 다 습진인 것은 아니고, 개인차는 분명 존재한다”고 말했다. 건선은 피부에 작은 발진이 생기면서 그 부위에 새하얀 비듬 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여 나타나는 만성 피부 질환이다. 건선은 피부에 있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성이 증가해 피부의 각질세포가 과다하게 증식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건선은 전신, 화폐상 습진은 종아리서 시작
화폐상 습진과 건선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우선 발생 부위를 확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화폐상 습진은 주로 발목에서 무릎 사이 종아리에서 나타난다. 반면, 건선은 팔꿈치나 무릎, 허리 주변과 두피 등에서 발생한다. 증상이 퍼지는 경과로 구별하기도 한다. 이갑석 교수는 “화폐상 습진은 퍼지면 지름 2~3mm로 전신에 뿌려놓은 것처럼 단기간에 온몸에 퍼질 수 있다”며 “이때 단기간은 1~2주일 정도로, 정말 빠르게 진행된다”고 말했다. 반면, 건선은 시간 경과가 필요하다.

◇건선은 만성, 화폐상 습진은 단기간 낫기도   
건선은 만성 질환으로 알려졌지만, 화폐상 습진은 만성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화폐상 습진은 단기간에 나타나면 단기간에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갑석 교수는 “화산에 비유하면 활화산일 때가 있고, 휴화산일 때가 있는 것”이라며 “다만, 재발하는 환자가 많다 보니 ‘만성적인’ 질환이라고는 한다”고 말했다. 건선과 달리 화폐상 습진은 빠르게 악화하면서 증상이 나타난 부위에 진물이 나는 경우도 많다. 이갑석 교수는 “다행히 경과가 짧아서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적다”며 “단기간 쓰면 바로 다시 ‘휴화산’ 상태가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건선은 병이 진행되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나을 때도 시간이 걸린다. 환자에 따라 몇십 년 동안 약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어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부담된다. 이때 환자들은 비타민D와 함께 복합 약제를 쓰는 편이다. 화폐상 습진과 건선은 경과에 따라 구별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갑석 교수는 “맨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워서 조직 검사를 해도 구별이 안 될 수 있다”며 “다행히 두 질환 모두 똑같이 약을 써도 약효가 나타나기는 한다”고 말했다.

화폐상 습진은 건선과 달리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일상생활에서 예방할 방법도 없다. 이갑석 교수는 “환자 일부에게서 아토피나 금속 알레르기가 있는 성향이 발견되기는 한다”며 “다만, 이런 신체적 특징이 전혀 없는 환자도 많아 원인을 명확하게 하기 어려운 질환”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스트레스나 계절 변화 등에 의해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21/2024022102501.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