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옷을 빨지 않고 그대로 입으면 여러 화학물질로 인해 피부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속옷 이외에 니트나 바지 등을 구입한 후 빨지 않고 그대로 입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피부 건강을 위해선 세탁 후 입는 게 좋다. 이유가 뭘까? 새 옷을 빨지 않고 그대로 입으면 여러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해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새 옷에서는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검출되기 쉽다. 포름알데히드는 유통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주름과 곰팡이를 막는 방부제 역할을 해 대다수 옷에 들어간다. 특히 구김 없는 셔츠에 많이 이용되는데, 천을 이루는 셀룰로스와 포름알데히드 물질이 반응하면서 교차 결합이 생기며 구김에 강한 특성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포름알데히드가 피부에 닿으면 강한 자극을 받아 가려움증이나 피부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새 옷을 빨지 않으면 색을 입히는 염료로 사용하는 ‘아조아닐린’도 그대로 남아 있게 돼 피부 가려움이나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아조아닐린은 보통 스포츠 혹은 아웃도어 의류들처럼 신축성이 있고, 방수 효과가 있으며 반짝이는 소재로 된 옷들에 많이 쓰인다. 옷을 빨지 않은 채로 입고 몸을 움직이면 피부와 마찰하고 땀이 나는 과정에서 아조아닐린이 스며들 수 있다. 특히 목이나 겨드랑이 등과 같이 땀이 많고 마찰이 잦은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피부를 부풀게 하거나 건조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청바지도 예외는 아니다. 청바지의 탈색 과정에서 쓰이는 ‘차아염소산소다’ 성분을 피부에 접하면 화상이나 수포,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눈에 닿을 경우 눈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옷을 샀다면 세탁을 해서 유해 물질을 제거한 후 입어야 한다. 한두 번 세탁하면 의류의 염색과 가공 과정에서 쓰인 유해 화학성분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20/202402200224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피부 가렵고 울긋불긋… ‘화폐상 습진’ vs ‘건선’ 헷갈린다면? (0) | 2024.02.22 |
---|---|
스크랩 유한양행, 알레르기 치료제 국제 학술지 게재 (0) | 2024.02.22 |
스크랩 갑자기 복부에 나타난 붉은 반점… 피부 감기, '이 질환' 의심해야 (0) | 2024.02.16 |
스크랩 목욕 중 ‘때’ 밀어야 개운한데… 피부 건강엔 최악이라고? (0) | 2024.02.15 |
스크랩 "긁어서 피가 날 정도로 가려워요"… 도대체 왜? (0)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