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색광에 장시간 노출되면 혈당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적색광에 노출되면 혈당 수치를 낮출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햇빛 등에서 나오는 적색광은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반면,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청색광은 오히려 혈당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런던대학교와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UCL) 공동 연구팀은 적색광에 15분가량 노출되면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특별한 대사질환이 없는 30명의 성인을 1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을 적색광(670nm) LED에 15분 노출시켰다. 이후 참가자들에게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OGTT)를 실시해 2시간 동안 15분마다 혈당 수치를 측정했다.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는 포도당이 함유된 제품을 섭취하게 한 후 혈액을 채취해 혈당 수치를 확인하는 검사로, 제2형 당뇨와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포도당 섭취 45분 전 적색광에 노출된 사람들은 2시간 동안 혈당 수치가 최대 27.7%까지 감소했다. 혈당 스파이크 지표 역시 최대 7.5%까지 감소했다. 연구팀은 그 원인으로 적색광의 긴 파장을 꼽았다. 연구팀에 따르면 적색광의 긴 파장은 미토콘드리아의 뉴클레오시드 아데노신삼인산(ATP) 생산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적색광이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개선하고 ATP 생산이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포도당 소비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런던대 시각과학부 마이클 파우너 교수는 "식후 혈당 수치를 낮추려면 적색광에 15분 동안 노출되면 된다"고 말했다. 반대로 햇빛이 없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모니터 화면 등에서 나오는 LED 조명(청색광)이 심할 경우 혈당 조절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LED 조명에 청색광이 많고, 적색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청색광은 380~500nm(나노미터) 사이 파장에 존재하는데, 적색광(660nm)보다 파장이 더 짧다. 청색광은 주로 전자기기 화면에 많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파장이 짧은 청색광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으로, 세포 대사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UCL 시각신경과학과 글렌 제프리 교수는 "적색광 없이 청색광에 장기간 노출되면 잠재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다"며 "블루라이트는 장기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하고 수명을 단축할 수 있는 혈당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바이오포토닉스 저널(Journal of Biophotonics)'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21/202402210207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외모도 성격도 너무 다른데… 나는 왜 반대에게 끌릴까? [별별심리] (0) | 2024.02.25 |
---|---|
스크랩 당신도 ‘자뻑’? 나르시시스트가 잘 쓰는 '3가지 문구' (0) | 2024.02.25 |
스크랩 프랑스 일간지 "한국 저출생 문제 우연 아냐. 이유는…" (0) | 2024.02.22 |
스크랩 키스로 '바이러스 감염' 가능… 예방법 있을까? (0) | 2024.02.21 |
스크랩 0.1초 안에 결정되는 ‘첫인상’… 게다가 바뀌지도 않는다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