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조선DB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어떠신가요? 만일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자신이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말기 암이라고 한다면 그 사실을 바로 알기를 원하시나요? 바로 이 주제에 대해, 우리나라의 말기 암 환자 380명과 그 가족 281명을 대상으로 국립암센터에서 연구한 적이 있습니다. 2004년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말기 암을 알리는 문제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입장’이라는 논문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말기 암 환자 본인과 가족에게 던진 질문은, (환자가) ‘진실을 알기를 원하는가?’인데, 이에 대해 말기 암 환자 본인은 96%가 “그렇다”고 대답했고 가족은 그보다 적은 76%만이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말기 암 환자 본인은 자신의 병에 대해 사실 그대로를 알기를 원합니다. 치료를 어느 정도까지 할지,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스스로 결정하기를 바랍니다. 자신의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이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을 지키는 일이니까요. 10여 년 전 필자가 진료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사례입니다. 60대 후반의 남자분이 식사 후 속이 더부룩한 증상 때문에 병원을 찾아왔습니다. 65세에 정년퇴임한 후 잘 지냈는데 한 달 전 증상이 나타났다고 했습니다. 체중 감소, 복통, 구토, 연하곤란 등 다른 증상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심각한 병일 때 나타나는 이상 증세가 없고, 신체 구석구석을 진찰해 봐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 분은 위내시경 검사를 받겠다고 했지만, 위장 근처에 있는 간·쓸개·췌장에 병이 생겨도 증상은 유사하므로 복부초음파 검사를 같이 시행했습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복부초음파 검사 결과, 췌장암이 발견됐습니다. 개복수술을 시행했는데, 이미 주변 장기로 췌장암이 전이돼 있었고 림프절에도 암이 많이 퍼져 있어서, 완치는 불가능한 상태로 판정하고 수술을 끝냈습니다. 수술이 끝난 후 환자분의 가족들은 담당 의료진에게, 말기 암이라는 사실과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환자 본인에게는 절대 비밀로 해달라고 신신당부를 했습니다. 그래서 의료진은 환자에게 사실을 말할 수 없었고, 그러다보니 진료 과정 내내 무척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지요. 한편, 수술이 아주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들은 환자분은 ‘수술은 잘 됐다는데 내 몸은 왜 이 모양이지?’하며 불안해했습니다. 그런 가운데 하루가 다르게 병세가 악화돼, 수술 받은 지 한 달째 되는 날 양쪽 폐로 암의 전이가 심하게 일어나면서, 의식을 잃고 사흘 뒤 세상을 떠났습니다. 가족과 의료진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을 본인만 모르고 있다가 죽음을 맞은 것입니다. 안타까운 건, 본인이 벌여 놓은 여러 가지 중요한 일들을 정리하고 삶을 마무리할 기회를 가족들에 의해 박탈당했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환자를 떠나보내고 나면 ‘그때 사실대로 알려 드릴 걸’하며, 가족들은 후회와 회한의 감정을 두고두고 안고 살아가게 됩니다. 환자가 자신이 살아온 삶을 하나도 정리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지 않도록, 본인의 병에 대해 사실대로 알려야 합니다. 물론 말기 암 환자에게 병세에 대해 사실 그대로를 알리는 것은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비유를 하자면,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기로 여러 쥐들이 모여 결정은 했지만 실제로 방울을 다는 일을 서로에게 미루는 것과 같습니다. 사실을 한꺼번에 덥석 말하기보다는 차츰 강도를 높여가며 몇 차례에 걸쳐 전달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필자의 전공분야가 소화기내과이기 때문에 속이 아프다는 환자에게 위내시경 검사를 할 때가 많습니다. 그 후 검사 결과를 듣기 위해 환자분이 병원에 오는 날 가족이 먼저 진료실로 들어와서는 “만일 암이면 환자 본인에게 절대 알리지 말아 달라”고 신신당부를 하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마음이 참으로 답답해지죠. 진실 알리기를 차일피일 미루다가 환자의 의식이 나빠져 중환자실로 옮겨진 뒤 서로 말 한마디 못한 채로 세상을 떠나고 나서야 뒤늦게 가슴을 치는 후회를 하는 가족을 많이 봤습니다. 이들의 회한을 접하며 절대 저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자신이 말기 암이며 남은 날이 많지 않다는 사실은, 그 누가 말해주지 않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눈치를 채게 됩니다. 이럴 경우 환자가 가족들에게 느끼는 감정은 고마움이 아닌 배반감이어서, ‘끝까지 나를 속이려고 하다니….’ 하면서 괘씸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에 이와는 대조적인 사례도 있습니다. 60대 중반의 남자 분이 갑자기 피를 토해 한 지방병원에서 검사를 해보니 위암이었고, 암이 이미 퍼져서 완치하기 어렵다는 판정을 받은 뒤 필자가 근무하는 병원으로 왔습니다. 완치를 위한 수술은 아니더라도 출혈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술을 하고 항암제 치료를 계속하기로 치료 계획을 세웠습니다. 외과와 종양내과로 옮겨진 후 몇 번 찾아가 항암제를 투여받기 시작한 것을 본 뒤 필자와는 연락이 끊겼습니다. 그 후 당시 지방병원에서 필자에게 그 환자를 의뢰했던 의사를 만나게 돼 이야기를 나누었는데요. 그 환자분은 위암 진단 후 1년 더 사셨고 그 시간 동안 책을 집필했다고 했습니다. 아마도 살아온 생을 회고하는 책을 썼으리라 추측이 됩니다. 우리나라 남자의 평균 수명을 못 채우고 돌아가시긴 했지만, 병명을 바로 알고 또 받아들임으로서 자신의 살아온 생을 훌륭하게 정리하고 마무리했다는 점에서 저에겐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가족들이 환자 본인에게 병명과 상태를 정확히 알리지 않는 이유는 잘 알고 있습니다. 절망적인 사실을 알리는 것이 자식들로서 불효라고 생각돼서, 또는 병세를 급격히 악화시킬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인 경우가 많겠지요. 그러나 사실을 알게 되는 그 순간은 괴롭고 힘들지라도, 환자에게 병명과 상태를 정확하게 알리는 게 바람직합니다. 초반에 사실을 숨기기 시작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거짓말을 하게 돼 사태가 걷잡을 수 없게 됩니다. 결국에는 가족 구성원과 의료진에 대한 신뢰에도 금이 가는 것을 자주 봅니다. 자신의 상태에 대해 사실대로 알아야 하는 것은, 한 번 태어나 언젠가는 죽게 돼 있는 인간이 갖는 존엄한 권리입니다. 죽음과 죽어감의 과정에서 누가 주인공이어야 할까요? 이에 대해 평소에 냉정하게 생각해보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 다음 가족들과 각자의 생각을 나누어 알고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자신이 바라는 대로 삶의 마무리를 하지 못한 채 황망하게 세상을 떠날 수도 있으니까요.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13/2024021301951.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 첫 고형암 세포 치료제 탄생 (0) | 2024.02.19 |
---|---|
스크랩 국립보건연구원, 암 조직 처음 공개… “치료제 개발 활용 기대” (0) | 2024.02.16 |
스크랩 암 수술 후 정맥 혈전 색전증 조심해야 (0) | 2024.02.10 |
스크랩 美 암협회 “암 사망률 점점 낮아지지만 발생률은 증가” (0) | 2024.01.23 |
스크랩 췌장암·대장암 재발 막는 '암 백신' 개발 가능성↑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