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중 비교적 드문 암종인 ‘점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 환자가 폐 절제 수술 뒤 재발했을 때, 재발 병변에 대한 국소 치료를 시행 받은 후에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중앙대병원
폐암 중 비교적 드문 암종인 ‘점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 환자가 폐 절제 수술 뒤 재발했을 때, 재발 병변에 대한 국소 치료를 시행 받은 후에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윤동욱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조종호 교수(교신저자), 병리과 황수현 교수 연구팀은 점액성 폐 선암의 재발 패턴과 생존 결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1998년부터 2018년까지 폐암 중 ‘점액성 선암’으로 근치적 폐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403명을 분석하였다. 특히 재발 패턴을 단독 폐 재발, 다발성 폐 재발, 폐를 벗어난 재발 3가지로 분류해, 재발 패턴과 재발 병변에 대한 치료 방식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 생존율, 재발 후 생존율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점액성 선암으로 폐 절제 수술을 받은 403명의 환자 중 91명(22.6%)에서 암의 재발이 발견되었으며, 그중 18명은 폐 단독 재발, 37명은 다발성 폐 재발, 그리고 36명은 폐를 벗어난 재발로 확인됐다. 폐 단독 재발환자들의 경우 최초 수술과 재발 시점까지의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관찰되었으며, 5년 생존율 88.5%로 좋은 예후를 보였다. 반면, 다발성 폐 재발환자와 폐를 벗어난 재발환자들의 경우 각각 41.5%와 22.9%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치료 방법에 따른 재발환자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폐 점액성 선암의 재발 후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로 정의되는 ‘국소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4.1%,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2.6%,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0%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 단독 및 다발성 폐 재발한 암 병변인 폐에 국한된 재발 암에 대해서 ‘국소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86.3%로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것을 확인됐다. 연구논문의 제1저자인 중앙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윤동욱 교수는 “점액성 폐 선암이 재발한 환자는 재발 패턴에 따라 다른 예후를 보였는데,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폐 재발환자는 양호한 예후를 보여 절제 가능한 폐 재발환자에 대한 국소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가 폐암 중 희귀하다고 알려진 점액성 선암으로 수술받은 환자들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수술 후 감시체계를 수립하고,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외과종양학회 공식 저널인 ‘외과임상종양학회연보(Annals of Surgical Oncology)’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17/2024011701783.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폐암 유발하는 침묵의 살인자… 실내 ‘라돈’ 줄이는 팁 (0) | 2024.02.25 |
---|---|
스크랩 “의사 파업 탓에 엄마 폐암 수술 미뤄졌어요”… 의료 대란 가시화 (0) | 2024.02.18 |
스크랩 ROS1 돌연변이 폐암에 쓰는 차세대 표적치료제 효과·안전성 확인 (0) | 2024.01.16 |
눈만 봐도 ‘폐암’ 조짐 알 수 있다? [1분 건강체크법] (0) | 2024.01.11 |
스크랩 분당서울대병원 폐암 수술 ‘연간 1000례’ 돌파 (0)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