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식약처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온라인에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품‧의약품‧마약류 등의 불법유통, 허위·과대광고 등을 판별해 신속 차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온라인 판매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식품‧의약품 등의 불법유통, 허위‧과대광고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SNS로 청소년·학생들에게 마약류를 판매하기도 해, 식약처는 온라인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차단하는 감시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3억 7500만원을 투자해 ▲마약류 등 판별 알고리즘 개발 ▲검색 방지용 광고 단속 기능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유관기관(플랫폼, SNS 등)에 자동 신속 차단요청 기능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온라인 판매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식품‧의약품 등의 불법유통, 허위‧과대광고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SNS로 청소년·학생들에게 마약류를 판매하기도 해, 식약처는 온라인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차단하는 감시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3억 7500만원을 투자해 ▲마약류 등 판별 알고리즘 개발 ▲검색 방지용 광고 단속 기능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유관기관(플랫폼, SNS 등)에 자동 신속 차단요청 기능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사진=식약처 제공
식약처는 "이번에 구축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이 심야·휴일 등 취약 시간에도 자동으로 모니터링해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불법유통, 허위‧과대광고 등을 최대한 신속하게 차단·조치하겠다"고 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 2018년 사이버조사단을 신설하고 식‧의약 온라인 관리 기반을 마련해, 현재까지 약 50만 건의 불법유통, 부당광고를 모니터링하고 차단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 2018년 사이버조사단을 신설하고 식‧의약 온라인 관리 기반을 마련해, 현재까지 약 50만 건의 불법유통, 부당광고를 모니터링하고 차단했다.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젠 ‘부고 문자’로도 피싱… 클릭했을 때 대처법은? (0) | 2024.01.17 |
---|---|
스크랩 겨울철 인기 석화, 잘못 먹다간 ‘이 바이러스’로 고생할 수도 (0) | 2024.01.16 |
스크랩 1월에 가장 많은 '대형 고드름 사고'… 어떻게 피할 수 있나? (0) | 2024.01.15 |
스크랩 어릴 적 ‘흑역사’ 정부가 지워준다… ‘지우개서비스’ 지원 대상자 확대 (0) | 2024.01.15 |
“세금 미납금 이 계좌로…” 연말정산 시기 맞아 ‘국세청 사칭’ 증가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