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많은 노년층이 피부 가려움을 호소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조한 겨울철에는 가려움증이 심해지기 마련이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유독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가려움의 원인과 증상 완화법에 대해 알아본다.
◇노화로 수분 감소해
가려움은 외부 물질과 마찰에 의해 피부 신경돌기가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옷 등 외부 물질과 가볍게 마찰하면 아주 작은 전기 스파크가 생긴다. 여기에 신경이 자극받아 뇌에 전달하면 뇌가 이를 가려움으로 해석한다.
나이 든 사람일수록 가려움증은 심해진다. 대한임상노인의학회에 따르면 노인의 66%가 피부 가려움을 느낀다. 나이 들수록 피부가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젊었을 땐 피부 수분량이 30% 이상을 웃돌지만, 나이가 들면 20%까지 떨어진다. 공기 중의 수분을 피부 속으로 끌어들이는 세라마이드 성분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피부의 혈관 기능도 떨어져 수분과 영양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한다. 여기다가 피부가 노화되면 피지선이 위축되고, 피지 분비까지 줄어들어 피부 가려움이 나타난다.
◇긁지 말고 보습제 발라야
간지럽다고 해서 깨끗하지 않은 손이나 효자손으로 긁는 것은 피해야 한다. 오히려 염증이 생기는 등 감염 가능성이 있다. 가려움을 참기 어렵다면 긁지 말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보습제를 바르는 게 좋다. 특히 피부 지질 성분 중 하나인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제는 피부에 부족한 지질을 빠른 시간 안에 보충한다. 보습제를 바를 때는 샤워 후에 피부에 물기가 약간 남아있는 상태에서 3분 이내에 바르는 게 좋다. 그래야 더 많은 수분을 피부 속에 가둘 수 있다. 샤워는 피부 건조를 막기 위해 뜨거운 물이 아닌 미지근한 물로 20분 안에 끝내는 게 좋다. 이외에도 평소 등 부위 스트레칭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것도 가려움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가려운 곳을 긁다가 상처가 생겼거나 딱지가 앉았다면 병원에서 항히스타민 연고나 스테로이드 연고 등을 처방받아 바른다.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 더 가려운 데다 노년층은 상처가 잘 아물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다만, 스테로이드 연고는 각종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단기간만 사용해야 한다. 무작정 많은 양을 바른다고 효과가 더 좋은 것은 아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정량을 바른다.
◇심하다면 당뇨병 의심해야
심한 가려움은 단순한 피부 건조가 아닌 특정 질환 때문에도 나타날 수 있다. 당뇨병이 있으면 혈액순환이 안되며 말초혈관 손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사소한 자극에도 감각신경이 흥분해 가려움증이 나타난다. 콩팥병이 있다면 콩팥 기능이 떨어져 몸에 노폐물이 남고, 이것이 피부에 자극을 줘 가려움증을 느낀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으면 피부 혈류량이 증가해 피부 표면 온도가 높아지는데, 이때 피부에 작은 자극이 가해져도 쉽게 가렵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수면 부족일 때 피부 가려움이 나타나기도 한다. 긴장이나 공포상황에서 가려움증이 심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28/2023122801380.html
'질병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겨울엔 벌레 없다던데… 가려운 이유, 옷장 속 ‘이것’ 때문 (0) | 2024.01.05 |
---|---|
스크랩 샤워 후 보습제… ‘이때’ 발라야 효과 극대화 (0) | 2024.01.02 |
흔히 쓰는 '이 약', 과사용하면 뼈 잘 부러진다 (0) | 2023.12.28 |
날 추우니 두드러기가… '호흡곤란' 가능성 있는 사람은? (0) | 2023.12.27 |
몸에 쥐젖 생겼을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0)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