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활용 모습/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
매년 연말이면 발표되는 새해 트렌드가 눈길을 끈다. 올해는 기술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한 인간상 키워드가 주로 떠올랐다. 사회의 빠른 변화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반영한 2024년 트렌드 중에 세 가지를 꼽았다. 2024 트렌드 코리아 발표에 따르면 새해 트렌드 키워드 중에 ▲호모 프롬프트 ▲돌봄경제 ▲도파밍 등이 자리 잡았다. 먼저 '호모 프롬프트'는 인공지능(AI) 전문가, 조련사, 검열자 등을 의미한다. 인간의 고유한 창의력, 감정, 감성을 활용해 AI에게 정확하고 명확하게 질문하고 AI가 도출한 결과물을 검열하는 인간을 뜻한다. 인공지능이 채우지 못한 인간만의 미묘한 여백을 채울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생성형 AI인 챗GPT나 빙챗, 하이퍼 클로바 등이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인간에게 요구하는 하나의 모습이 됐다. 다음 키워드는 돌봄경제. 돌봄경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배려돌봄, 정서돌봄, 관계돌봄 등이 포함된다. 배려돌봄에는 의료, 간호 서비스나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 서비스, 정서돌봄에는 심리 치료 서비스와 문화 활동 프로그램, 우울증 불안장애 환자 등을 위한 사회 복지 서비스들이 있다. 관계돌봄은 가족이나 이웃, 친구 등과 관계 형성 유지를 위한 사회적 활동 등을 의미한다. 개개인의 분리나 문제 등을 사회적 패러다임 구축으로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도파민을 추구하는 사람들인 '도파밍'이다. 트렌드 신조어로 새롭고 재미있는 것을 경험할 때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모으는 요즘 사람들을 뜻한다. 즐거움을 모으는 행위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랜덤박스, 럭키박스 등을 소비하는 랜덤 도파밍, 에너지 드링크 음료의 마케팅으로도 쓰이는 무모한 도파밍, 숏츠나 짧은 영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피지뽑기, 여드름 압출 등 기괴한 도파밍 등으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새해 트렌드 키워드로는 육각형인간, 분초사회, 요즘남편 없던아빠,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스핀오프 프로젝트, 디토소비, 리퀴드폴리탄 등이 올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15/2023121502200.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는 동안 코 안 골려면, 자기 전 ‘이것’ 꼭 하세요 (0) | 2023.12.19 |
---|---|
스크랩 후방카메라에 얼굴 들이미는 장난, 심장마비 생긴다고? (0) | 2023.12.18 |
스크랩 연말파티 ‘와인’, 잘못 먹었다간 치아 누레진다? (0) | 2023.12.18 |
스크랩 술 안 좋은 건 다 알지만… ‘이런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0) | 2023.12.17 |
스크랩 다들 행복해 보이는데 나만… '연말 우울증' 극복법은? (0)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