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컴퓨터 모니터 등 특정 사물을 집중해서 바라볼 땐 주변을 밝게 해야 눈의 피로를 덜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면 눈이 빨리 지친다. 이럴 땐 조명을 바꿔보는 게 좋다. 눈의 부담을 더는 조명을 설치하고, 스탠드를 잘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눈이 지치는 속도를 조금이나마 늦출 수 있다. ◇형광등 대신 빛 떨림 없는 LED로 조명 교체 실내조명만 바꿔도 눈의 피로를 덜 수 있다. 실내에선 형광등이나 백열등 대신 LED 조명을 쓰는 게 눈에 좋다. 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반도체로, TV나 컴퓨터 모니터에 많이 쓰이다가 실내조명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빛이 떨리는 현상이 거의 없고 자외선과 적외선이 나오지 않아 백열등과 형광등보다 눈 보호에 좋다. 형광등은 형광 물질을 통해 빛을 내는 과정에서 미세한 빛 떨림이 발생한다. 눈의 동공이 확장됐다가 수축하길 반복하는 탓에 형광등을 오래 켜 두면 눈이 피로해질 수 있다. 백열등은 조도(照度, 빛의 세기)가 높아 오래 켜두면 눈이 지치기 쉽다. ◇어두운 곳에서 스탠드만 켜면 눈 피로해져 어두우면 집중이 잘 된다는 생각에 조명을 어둡게 하고 책상 위 스탠드만 밝게 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눈에 해로울 수 있다. 눈이 응시하는 화면과 주변 환경의 대비가 심하면 눈이 잘 피로해진다. 스탠드 없이 실내조명만 밝히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빛이 등 뒤에 있으면 책에 그림자가 생길 수 있어서다. 책을 읽거나 공부하는 등 근거리 작업을 할 때는 방 전체 조명을 밝게 하고 스탠드 같은 보조 조명을 쓰는 게 좋다. 방 곳곳의 밝기가 일정해야 눈이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조명의 위치 선정도 중요하다. 책상에 앉아 공부할 때는 전체 조명의 빛이 등 뒤에 있어야 한다. 빛이 책에 반사되면 눈이 부시므로 너무 가까이 두지 않는다. 글씨를 두는 손과 같은 방향에 스탠드를 두면 손 그림자가 시야에 들어와 눈이 피로해질 수 있다. 오른손잡이는 왼쪽에, 왼손잡이는 오른쪽에 두는 게 바람직하다. ◇컴퓨터·스마트폰 화면과 주변 밝기 차 줄여야 컴퓨터를 사용할 땐 실내 전체를 밝게 해야 한다. 방 안이 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컴퓨터 모니터를 쳐다보면 시력 저하나 눈꺼풀 떨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방 안의 불을 켜거나, 스탠드를 벽으로 향하게 켜서 모니터와 실내 공간의 밝기 편차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모니터의 글씨와 아이콘을 너무 작게 해서 보는 것도 눈을 피로하게 만드니 주의한다. 스마트폰도 마찬가지다. 자기 전에 방의 불을 끈 채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지 않는 게 좋다. 어두운 곳에서 꼭 휴대전화를 사용해야 할 일이 있다면 눈에 가는 자극을 줄이기 위해 화면 밝기를 최대한 낮춰야 한다. 잠을 자기 전엔 방 안의 모든 조명을 끈다. TV나 조명을 켜놓고 자면 눈이 계속 빛에 자극받아 피로도가 높아진다. 낮에 쉬지 않고 활동한 눈을 쉬게 하려면 잘 때만이라도 주변을 어둡게 해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1/27/2023112702238.html |
출처: 암정복 그날까지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약류 중독자, 내년부터 건강보험으로 중독 치료 받는다 (0) | 2023.11.30 |
---|---|
스크랩 빨아도 옷에서 냄새 난다면… ‘세탁기’가 원인? (0) | 2023.11.29 |
스크랩 강경 투쟁 선포한 의협, 힘 싣는 의료계… 복지부는 "유감" (0) | 2023.11.28 |
스크랩 칫솔 '이렇게' 보관해야… 오염 위험 낮아져 (0) | 2023.11.28 |
스크랩 겨울철 곰팡이와의 전쟁… ‘이렇게’하면 필승 (0)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