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청결제를 사용한 후 물로 입안을 헹구면 청결제 속 소독 성분이 물에 씻겨나가 가글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구강청결제로 가글한 후, 습관처럼 물로 입안을 다시 헹구는 사람이 있다. 구강청결제 성분이 입안에 남아있는 게 찝찝하다는 게 이유인데, 물로 헹구는 것과 헹구지 않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할까? 가글 후에 물로 입안을 꼭 헹굴 필요는 없다. 입안에 구강청결제 성분이 남았대서 몸에 심각한 이상이 생기진 않는다. 구강청결제를 마셨다가 독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해 시력이 떨어지는 사례가 가끔 보도되지만, 이는 다량의 구강청결제를 장기간 섭취한 경우다. 구강청결제 속 ‘살리실산메틸’이 분해된 메탄올은 몸속에서 포름산으로 전환돼 안구 조직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메탄올을 15ml 마시면 실명하고 60~240ml 복용하면 사망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구강청결제 속 메탄올 때문에 독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하려면, 성인 몸무게 50kg 기준으로 구강청결제를 10개는 마셔야 한다. 마시지 않는 게 가장 좋겠지만, 가글하다 자신도 모르게 소량의 구강청결제를 삼키는 정도로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일반적인 구강청결제라면 가글 후에 물로 입안을 헹구지 않는 게 좋다. 입안에 남은 가글 성분이 물에 희석돼 구강청결제 속 소독·항균 성분 농도가 옅어질 수 있다. 구강 소독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일반적 구강청결제 말고, 사랑니를 뽑은 후 치과 의사가 처방해준 가글액을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가글한 후 입을 물로 헹구면, 가글 속 항염 성분이 물에 씻겨나가며 염증 억제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 ▲베타차단제·칼슘통로차단제 성분의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사람은 일반적인 구강청결제를 사용한 후에 물로 입안을 헹구는 게 낫다. 구강 내 침 분비량이 줄어든 상태일 수 있어서다. 침은 구강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침이 적게 분비되면 입안이 건조하고 예민해진다. 이때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면 소독·향균 성분이 점막을 자극하게 된다. 입안이 더 메마르거나, 맵고 따끔거리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니 가글한 후 물로 입을 헹구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1/17/2023111702243.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넘어진 뒤 아픈 손목… 방치하면 뼈 괴사까지? (0) | 2023.11.22 |
---|---|
스크랩 종이컵 속 나노플라스틱, 파킨슨병 유발 가능 (0) | 2023.11.21 |
스크랩 대표 집안일 ‘이것’ 개기… 심장병 위험 낮춘다는데, 진짜? (0) | 2023.11.20 |
스크랩 의료계 눈치 보기?… 의대증원 대학 수요조사 결과 발표 연기 (0) | 2023.11.20 |
스크랩 집안 미세먼지 온상인 ‘이곳’… 청소기 안 밀면 폐 건강 위협 (0)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