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물러지는 것은 딸기의 세포벽이 파괴되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곰팡이가 피지 않은 이상 성분에 이상은 없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초겨울이 되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딸기가 출하된다. 딸기는 수분이 80~90%로 많은데다 과육도 연하다. 냉장고에 넣어 둬도 금세 물러지는데, 상했다는 뜻일까?
딸기가 물러지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다. 딸기의 세포벽이 붕괴하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분에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딸기는 표피가 약하다 보니 세포벽이 잘 망가진다. 냉장 보관하더라도 빨리 물러지는 이유다. 성분에는 문제가 없는 만큼 깨끗이 씻어 먹으면 되지만, 그래도 마음에 걸린다면 무른 부분만 도려내고 먹도록 한다. 무른 부분만 따로 잘라내 잼이나 생딸기 우유를 만드는 것도 방법이다.
무른 딸기를 손질하거나 먹지 말고 즉시 버려야 할 때도 있다. 물러진 딸기에 곰팡이가 피었을 때다. 곰팡이를 도려낸다고 괜찮은 게 아니다. 딸기 표면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내부까지 포자가 퍼진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또 딸기는 수분 함량이 높아 곰팡이도 빨리 퍼진다. 딸기 하나에 핀 곰팡이가 주변 딸기를 오염시켰을 수도 있다. 곰팡이가 퍼진 걸 모르고 먹었다간 복통이나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딸기는 될 수 있으면 3일 안에 먹고, 남은 딸기는 4도 정도에서 냉장 보관한다. 기온이 지나치게 낮은 곳에 보관하면 딸기 고유의 향이 사라질 수 있다. 딸기의 신선도를 유지하려면 씻지 않은 채 보관하는 게 좋다. 물로 씻으면 더 빨리 물러질 수 있다. 이외에도 딸기 꼭지를 제거하지 않은 채 밀폐 용기에 담아두거나 랩을 씌워 보관하면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딸기는 원래 초여름이 제철이지만, 이젠 겨울철 딸기가 더 맛있다는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가 있다. 초여름 딸기는 봄에서 여름이 되며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당도가 떨어지고 신맛을 내는 유기산 함량이 높아지지만, 겨울철 딸기는 낮은 온도에서 오래 숙성되며 당분이 많이 축적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1/06/2023110602321.html
'암치유에 도움 > 항암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 과일' 먹었더니, 인지능력·우울감 개선… 연구 결과 (0) | 2023.11.17 |
---|---|
영양소 많지만… 생으로 먹으면 손해인 채소 6가지 (0) | 2023.11.13 |
57세 이승환, 최강 동안 비결… 20년째 '이것' 아침마다 갈아 먹어 (0) | 2023.11.08 |
여자에게 좋다는 ‘석류’… 자궁근종 키운다? (0) | 2023.11.06 |
양파 영양분 최대로 섭취하려면? ‘이렇게’ 손질해야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