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고혈압, 중풍

일어서면 앞 깜깜 ‘기립성 저혈압’… 방치하면 큰일 나는 이유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9. 3.

기립성저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해 혈관성 치매 등 뇌 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평소엔 멀쩡하다가, 갑자기 일어서면 눈앞이 깜깜해지며 어지러운 증상.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 증상이다. 평소엔 정상 혈압을 유지하다가, 일어났을 때 혈압이 크게 떨어지며 뇌 혈류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게 원인이다. 생활하는 데 큰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내버려두면 의외로 치명적일 수 있다.

기립성저혈압은 누운 자세에서 혈압을 측정한 다음, 일어나서 적어도 3분 내로 혈압을 다시 쟀을 때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증상은 다양하다. 눈앞이 하얘지거나, 어두워지며 중심을 잃는 게 가장 흔하고, 이외에도 현기증 무기력 전신 쇠약감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실신까지 이어질 수 있다.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지만, 치료하는 게 좋다. 기립성저혈압이 있으면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 뇌 위축이 쉽게 진행될 수 있어서다. 같은 이유로 치매뿐 아니라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도 커진다.

기립성저혈압은 몸속 자율신경에 존재하는 압력수용체가 제대로 일을 못 해 발생할 수 있다. 물이 부족한 탈수 상태일 때 많이 생긴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생길 때 자율신경장애가 동반되며 기립성저혈압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파킨슨병 등 뇌 질환이 원인일 때도 있다. 이 경우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해야 증상도 나아진다.

평소 복용하는 약이 문제일 때도 있다. 고혈압약으로 처방되는 이뇨제, 알레르기약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항정신병 약물 등은 기립성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평소에 멀쩡하다가 갑자기 기립성 저혈압이 생겼다면, 최근에 복용하기 시작한 약이 있는지 확인하고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다.

뚜렷한 질환도, 복용하는 악도 없는데 기립성저혈압이 생기는 때도 있다. 과로로 탈수 상태가 되거나, 과도한 스트레스·다이어트로 인해 혈액 순환이 정체돼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럴 땐 전반적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기립성저혈압은 앉았다가 일어설 때, 또는 누워있다 일어설 때 증상이 잘 나타나므로 몸을 천천히 움직이는 습관을 들인다. 미네랄과 비타민 등 영양분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하루에 2~2.5L 정도의 물을 충분히 마시고, 적당량의 염분도 섭취한다. 술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더 떨어뜨리므로 마시지 않는다. 기립성저혈압이 아침에 특히 심하면, 베개로 머리 높이를 15~20도 이상 높게 조절하는 게 좋다. 오래 서 있을 땐 수시로 스트레칭 하고, 다리 정맥혈이 정체하는 걸 막기 위해 압박 스타킹을 신는 게 도움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9/01/202309010193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