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당뇨교실

스크랩 한국인 850만 명 추적… ‘이 수치’ 높으면 당뇨병 위험 2배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6. 22.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잔여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당뇨병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잔여콜레스테롤의 영향력은 특히 젊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강준구 교수, 허지혜 교수, 노은 교수와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잔여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른 당뇨병 발생위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잔여콜레스테롤은 초저밀도지단백질(VLDL) 또는 중저밀도지단백질(IDL) 내의 콜레스테롤을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저밀도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과 고밀도지단백질(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제외해 계산한다.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잔여콜레스테롤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포도당 대사 및 당뇨병과의 사이의 상관관계는 불분명했다.

◇한국인 850만명, 잔여콜레스테롤 높을수록 당뇨병 발생↑

연구팀은 2009년에 건강검진을 시행한 당뇨병이 없는 한국 성인 약 850만명을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2009년 검진 당시에 측정한 잔여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라 추후 당뇨병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것이다.

분석 결과, 잔여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30mg/dL 이상)과 수치가 낮은 사람(14mg/dL 이하)의 9년 뒤 당뇨병 발생률은 1000명당 13.3건과 3.1건으로, 약 3.3배 차이가 났다. 나이·성별·체질량지수·흡연·음주·고혈압·만성신장질환·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치료력과 공복혈당을 보정한 이후에도 30mg/dL 이상군이 14mg/dL 이하군에 비해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상관관계는 특히 젊은 연령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잔여콜레스테롤군 대비 높은 잔여콜레스테롤 군의 연령별 당뇨병 발생 위험도는 여러 위험인자들을 보정한 이후 ▲70세 이상에서 1.20배 ▲60~69세 1.51배 ▲50~56세 1.90배 ▲40~49세 2.47배 ▲30~39세 3.07배 ▲20~29세 3.06배로 나타났다.

젊은 연령 외에 다음과 같은 요인에서도 잔여콜레스테롤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여성과 같이 전통적으로 당뇨병 발생 위험이 적은 사람 ▲공복혈당장애와 같은 대사 이상이 없는 사람 ▲고혈압이 없는 사람 ▲고중성지방혈증 또는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등 죽상경화성 이상지질혈증이 없는 사람.

연구의 저자 강준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 발생에서 지질 독성이 병인으로써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며 “잔여콜레스테롤이 혈관세포뿐 아니라 인슐린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췌장 베타세포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에 최근 게재됐다.

잔여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른 당뇨병 위험도./사진=한림대성심병원 제공

◇잔여콜레스테롤 관리, 튀김 멀리하고 하루 30분 이상 운동해야

잔여콜레스테롤은 심뇌혈관질환뿐 아니라 당뇨병의 독립적 위험인자다. 그런 만큼 일상에서의 관리가 중요하다. 문제는 아직 잔여콜레스테롤의 정상 수치에 대한 공식적인 지침이나 기준은 없다는 것이다. 한림대성심병원 내분비내과 노은 교수는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한 생활요법을 충실히 따르면 잔여콜레스테롤 관리가 가능하다고 조언한다. 생활요법은 다음과 같다.

1.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를 섭취한다.

2. 총지방 섭취량을 1일 섭취 에너지의 30% 이하로 줄인다.

3. 트랜스지방산(마가린, 쇼트닝, 튀김류 등) 섭취를 피한다.

4. 총 탄수화물 섭취량을 1일 섭취 에너지의 65% 이하로 제한한다.

5.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콩, 과일, 채소, 전곡 등)을 충분히 섭취한다.

6. 술은 하루 1~2잔 이내로 제한하며, 가급적 금주한다.

7. 주식은 통곡물이나 잡곡으로 섭취하고 채소류가 풍부한 식사를 한다.

8. 적색육과 가공육보다는 콩류나 생선류를 섭취한다.

9. 앉아있는 시간을 줄이고 자주 신체를 움직이기 위해 노력한다. (대중교통 이용, 산책, 계단 사용)

10. 하루 30분 정도의 유산소 신체활동을 한다. (빠른 걸음으로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20/202306200213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