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꽃, 백두옹 (사진=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메디컬투데이=이한희 기자] 할미꽃의 뿌리에서 알레르기 비염 개선효능이 확인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최근 한의약융합연구부 김태수 박사 연구팀이 할미꽃의 뿌리로 알려진 한약재 백두옹의 알레르기 비염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할미꽃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전통적으로 뿌리 부분을 약초로 사용했으며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 것을 ‘백두옹(白頭翁)’이라 했다.
예로부터 백두옹은 해독의 효능이 있어 염증 완화, 지혈(止血), 지사(止瀉)약으로 사용해 왔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비염 동물모델에 백두옹 추출물을 경구투여해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대표적인 알레르기 비염 증상인 코 문지르기 및 재채기 횟수가 각각 대조군 대비 최대 38% 및 35%씩 개선됐다.
비강의 상피조직의 두께도 대조군 대비 최대 24% 감소했다. 또한 코 점액을 생성하는 술잔세포의 수도 대조군 대비 최대 4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연구팀이 동물모델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백두옹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그룹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등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줄어드는 것도 관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연구팀은 백두옹 추출물의 명확한 약리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알레르기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h2 세포의 분화 및 활성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백두옹 추출물이 Th2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체계 ‘STAT6/GATA3’에 영향을 미쳐 Th2세포의 분화와 활성을 조절한다는 것도 밝혀낼 수 있었다.
연구책임자 김태수 박사는 “이번 성과는 친숙한 한약소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분석해낸 결과”라며 “백두옹 추출물에서 알레르기 질환을 개선하는 기전을 밝혀낸 만큼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한의소재 기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국제전문학술지 ‘Biomedicine & Pharmacotherapy’(IF 7.419; JCR 상위 9.0%)에 4월 18일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이한희 hnhn0414@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컬투데이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91771
'교류의 장 > 꽃, 무명초,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약용 ‘양귀비’ 연이어 적발… 관상용도 있다는데, 차이점은? (0) | 2023.05.19 |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 균사체의 뼈 형성 증진과 뼈 흡수 억제 조절 메커니즘 구명 (0) | 2023.05.19 |
한의학연, 한약재 '초두구'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확인 (0) | 2023.04.25 |
스크랩 공원·하천 변에서 따온 쑥·냉이로 조리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04.17 |
스크랩 잘못 알려진 ‘독버섯’ 상식… 버섯 전문가에게 물었다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