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두구 (사진=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신·변종 감염질환 한의 임상기술 개발 연구실에서 한약재 ‘초두구(草豆)’추출물 및 분리된 화합물 ‘카다모닌(cardamonin)’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20일 발표했다.
초두구는 한의학에서 성질이 따뜻한 약재로 분류되고, 찬 기운으로 인해 나타나는 가슴과 배의 통증, 구토 등을 치료하는 용도로 활용되며, 급성 전염병인 온병(瘟病)을 치료하는 처방인‘성산자(聖散子)’의 구성 약재이기도 하다.
연구진은 이러한 약효를 보이는 초두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을 보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본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연구진은 초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SARS-CoV2 감염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초두구 추출물이 SARS-CoV2 감염으로 인한 세포 병변을 방어하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IC50=48.6μg/mL). 또한 바이러스 단백질의 발현 및 복제 억제 효과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연구진은 초두구에서 분리된 화합물인 카다모닌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과 항바이러스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심화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카다모닌은 사람의 폐유래 세포에서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human coronavirus OC43, HCoV-OC43)에 의한 세포 병변을 억제했다. 또한, 바이러스 단백질의 세포 내 발현을 억제하며, 바이러스의 세포 내 증식 및 세포 외 방출을 감소시켰다.
카다모닌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은, 바이러스 감염 초기에 면역 및 스트레스 조절과 관련된 p38 MAPK 신호전달 경로를 증폭하고 연장하는 작용 기전을 갖는다.
연구책임자 권선오 박사는 “본 연구성과는 한의약의 감염병 치료효능을 과학적으로 실증한 사례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며 “초두구뿐 아니라 다양한 신·변종 감염병 예방·치료 한약소재 발굴 및 과학화에 노력하겠다”는 앞으로의 계획을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인 뉴트리언츠(NUTRIENTS, IF 6.706; JCR 상위 15.73%, 2023.03.09.) 게재됐으며 국내특허 등록까지 완료했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dlwogur93@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컬투데이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90035
'교류의 장 > 꽃, 무명초,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산림과학원, 복령 균사체의 뼈 형성 증진과 뼈 흡수 억제 조절 메커니즘 구명 (0) | 2023.05.19 |
---|---|
한의학연, 할미꽃 뿌리에서 알레르기 비염 개선효능 확인 (0) | 2023.05.15 |
스크랩 공원·하천 변에서 따온 쑥·냉이로 조리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04.17 |
스크랩 잘못 알려진 ‘독버섯’ 상식… 버섯 전문가에게 물었다 (0) | 2023.04.16 |
스크랩 자연산 산나물인 줄… 독초 먹고 장염 호소 사례 늘어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