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수술 5년 이후에도 재발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흔히 암 치료 후 5년간 재발이 없었다면 '완치'로 보곤 한다. 그러나 유방암은 특히 5년 이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종종 보고돼 유방암 완치 판단 기준을 마련할 근거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최근 고려대 안암병원 유방센터 정승필 교수 연구팀이 유방암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유방암 추적관찰 기준의 새로운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팀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수술받은 2730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암 종류, 재발 시기, 호르몬 수용체 여부. HER-2 표적 단백 유무 등을 조사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분석 그룹을 4종류 아형, ▲여성호르몬 수용체와 HER-2 표적 단백이 둘 다 있는 경우(루미날B) ▲여성호르몬 수용체만 있는 경우(루미날A) ▲HER-2 표적 단백만 있는 경우(HER-2 양성) ▲둘 다 없는 경우(삼중음성)로 나눠 재발과 생존율을 확인했다.
그 결과, 전체 유방암 환자 중 12.3%에서 재발이 일어났는데, 수술 5년 이후에 재발한 환자가 그중 19.7%였다. 재발환자 5명 중 1명이 5년 이후에 재발한 것. 특히 5년 이후 재발한 환자의 78%가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환자로, 삼중음성 유방암·HER-2 양성 유방암보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후기 재발 비율이 높다는 것이 규명됐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수술 5년 이후에도 꾸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루미날A, B에서 5년이 지난 뒤에도 재발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보다 세심한 정기검진으로 관리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승필 교수는 "암 진단후 5년이면 산정특례가 만료돼 많은 환자가 완치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며 "5년 이후에도 재발과 전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장기간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특히 유방암은 여러 아형이 존재하는 복잡한 질병이기 때문에 환자별 상황을 고려해 재발을 막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며 "고위험 환자는 항호르몬제를 5년 이후 10년까지 복용해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외과학회지(ASTR)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4/19/2023041902704.html
'종류별 암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수술 전 림프절 침범 예측 노모그램 개발 (0) | 2023.05.07 |
---|---|
유방암 위험 높이는 '의외의 습관' (0) | 2023.05.05 |
스크랩 유방암 치료제로 쓰이는 아베마시클립 메실레이트…알츠하이머도 치료한다 (0) | 2023.03.24 |
스크랩 암 판별 어려운 치밀유방… '이 검사'로 정확도 높인다 (0) | 2023.03.23 |
스크랩 유방암의 재발과 관련된 단백질 규명...새로운 치료 개발 가능성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