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안 될 때 물에 밥을 말아 먹는 습관은 오히려 소화기관에 악영향을 준다./사진=헬스조선DB
소화 안 될 때 물에 밥을 말아 먹는 습관이 있다면 고치는 것이 좋다. 밥을 물에 말아 먹는 것은 오히려 소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밥은 치아의 저작 작용을 통해 잘게 부서지고, 침과 섞이면서 소화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침 속에 있는 아밀라아제는 쌀의 주성분인 녹말이 소화되기 쉽도록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밥을 물에 말아 먹으면 밥을 덜 씹게 돼 잘게 부수는 과정이 생략되고, 침이 희석돼 분해 효과가 약해진다. 위 속에 있는 소화액 역시 물에 희석돼 위의 소화 기능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장내 알칼리 상태 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것도 소화를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다. 탄수화물은 대부분 작은창자에서 소화된다. 작은창자에서는 췌장액, 작은창자 벽에서 분비되는 액,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 등 여러 소화액이 섞인다. 이 과정에서 창자 속 액성을 알칼리로 만들어 소화가 잘되도록 돕는다. 한국생물공학회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밥을 물에 말아 먹으면 장내의 알칼리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워 소화가 잘 안된다.
밥을 물에 말아 먹는 것뿐 아니라 식사 도중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좋지 않다.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면 위액 양이 적고 pH가 낮아 물이 소화를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평소 소화가 잘 안되는 사람이라면 저염 조리한 음식을 먹고, 꼭꼭 씹어먹는 습관을 통해 식사 중 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2/15/2022121502112.html
'암치유에 도움 > 환우를 위한 식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미랑] 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은 뭘까? (0) | 2022.12.22 |
---|---|
스크랩 [밀당365] 고단백인데 초간단 ‘낫토 아보카도 비빔밥’ (0) | 2022.12.20 |
스크랩 하루 두 끼? 세 끼? 당뇨 환자에게 맞는 식사법은 [밀당365] (0) | 2022.12.14 |
겨울철 몸보신 ‘바다 영양’ 가득한 굴 국밥으로 [밀당365] (0) | 2022.12.10 |
다이어트에 빈혈 예방까지… 겨울에 딱인 초록빛 '이 음식' (0) | 202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