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쉬어가기

셀카 사진에 감추어진 나의 성격과 심리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12. 13.

셀카 사진을 보고 성격을 유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신의 성격이 궁금하다면 핸드폰 속 셀카(셀프카메라) 사진을 보자. 모든 행동엔 성격이 반영되는데, 특히 스스로 자기 얼굴을 찍을 때 그 특성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카메라 높이, 사진 찍을 때 표정 등으로 성격 유추할 수 있어
셀카를 찍을 때 누구나 무의식적으로 자기 모습 중 드러내고 싶은 점은 부각하고, 숨기고 싶은 점은 감추게 된다. 싱가포르 난양기술대 심리학과 린 퀴 교수팀은 이런 행동 양상이 성격과도 관련이 있을 거로 추정해, 중국의 인기 소셜미디어 사용자 123명을 모집한 후 셀카 유형과 개인의 성격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성격은 성격 테스트를 통해 확인했고, 셀카 사진은 입술 내밀기, 카메라 응시하기, 카메라 높이, 얼굴과 몸 노출 정도, 촬영 장소, 포토샵 보정 등 13가지 기준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다른 사람에게 다정하고 친화적인 사람은 카메라를 아래에서 위로 찍었고, 냉철한 사람은 위에서 아래로 찍는 경향이 있었다. 감정적으로 큰 변화가 잦은 사람일수록 입술을 앞으로 내미는 표정을 많이 지었고, 대담하고 개방적인 사람일수록 치아를 드러내며 밝게 웃는 입 모양을 보였다. 또한, 사진 배경으로 사적인 공간이 잘 보이지 않도록 찍는 사람일수록 개인 정보에 민감했고 성실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사진으로 성격이 외향적인지 내향적인지는 알 수 없었는데 누구든 셀카를 찍을 땐 사교적이고 유쾌한 모습을 보이려고 시도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중국 학생 100여 명에게 실험참가자 사진을 보여주고 성격을 유추하게 했지만, 찍는 사람이 보여주려는 모습만 보게 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는 실제 셀카 유형이 담고 있는 성격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특성 반영해 AI 학습 시도
실제로 셀카 사진이 성격을 반영하고 있는 게 드러나면서, 셀카 사진으로 성격을 예측하는 AI도 등장했다. 러시아 고등경제대(HSE)와 개방형 인문경제대 연구팀은 러시아·영국 스타트업인 베스트핏미(BestFitMe)와 함께 얼굴 사진을 바탕으로 성격을 판단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을 개발해 2020년 발표했다. 연구팀은 1만 2000여명의 실험 참가자 사진 총 3만 1000여 장을 분석해 AI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등 기본적인 성격 요인 다섯 가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약 60%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두 명의 성격 차이를 정확하게 추측해냈다. 성격 판단 결과는 한 사람이 올린 여러 셀카 사진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사람이 사전 지식 없이 다른 사람을 만났을 때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정확한 결과"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2/09/202212090159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