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터·마가린과 단 음식의 섭취량이 많으면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녹인 버터·마가린에 튀기듯 굽는 호떡은 겨울철 별미다. 그러나 버터·마가린과 단 음식은 모두 몸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식품이다. 염증성 식품을 자주 먹을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버터·마가린 과도한 섭취가 유방암으로 이어지기도
유방암을 예방하려면 육류와 버터·마가린 등 몸의 염증 수치를 높이는 식품을 적게 먹어야 한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있는 카탈로니아 종양학 연구소 연구팀이 유방암이 없는 32만 명의 여성을 1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염증성 식품을 가장 많이 섭취한 집단은 가장 적게 섭취한 집단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최대 1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50세 이하이면서 폐경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일수록 염증성 식품 섭취량과 유방암 발생 위험 간 비례관계가 강했다.
연구팀은 염증성 식품으로 ▲붉은색 육류와 가공육 ▲버터·마가린 등 지방 ▲단맛이 나는 과자 등을 꼽았다. 반대로 ▲콩류 ▲채소 ▲과일 ▲차 등은 항염증 식품으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염증이 필요 이상으로 이어져 만성 염증이 되면 건강한 세포가 손상돼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유방암 예방하려면 매 끼니 ‘잡곡밥’ 섭취
유방암을 예방하고 싶다면 매일 먹는 밥부터 잡곡밥으로 바꾸자. 서울대의대 연구팀이 2004~2013년 40~70세 한국인 여성 9만 3306명의 식이 패턴, 잡곡밥 섭취 여부, 유방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흰 쌀밥을 많이 먹고 잡곡밥을 적게 먹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35% 더 높았다. 흰 쌀밥으로 식사하는 빈도가 잦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도 확인됐다. 반대로 50대 미만 여성이 하루에 3회 이상 잡곡밥을 섭취하는 경우, 잡곡밥을 하루 1회 이하로 섭취하는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33% 낮았으며, 잡곡밥 섭취 빈도가 잦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낮아졌다.
잡곡밥이 유방암 예방에 도움되는 건 풍부한 식이섬유 덕분이다. 식이섬유는 몸에 흡수되는 발암물질의 양을 줄임으로써 암을 예방한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배설량이 증가해 체내 에스트로겐 농도가 감소하는 덕에 유방암 발생 위험도 줄어든다. 또한, 통곡물엔 발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하고 발암물질과 세포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비타민 E도 풍부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2/07/2022120701971.html
'일반 건강상식 > 음식&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음식’ 자주 먹으면 뇌 기능 떨어져 (0) | 2022.12.10 |
---|---|
폭식했다면… ‘이 음식’으로 위장 달래세요 (0) | 2022.12.10 |
사골 국물, 뼈 건강에 오히려 나빠… 이유는? (0) | 2022.12.08 |
‘플라바놀’이 치매 예방… 어떤 음식에 많이 들었을까? (0) | 2022.12.08 |
제철 맞은 방어, 맛있지만 기생충 걱정이 된다면…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