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메디칼업저버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 뱅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PARP 억제제 계열 난소암 치료제 제줄라(성분명 니라파립)와 루브라카(루카파립)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제줄라는 1차 화학요법에 반응을 보인 진행성 난소암 환자의 무진행생존(PFS)을 연장한 반면, 루브라카는 유럽의약품청 약물사용자문위원회(EMA CHMP)는 BRCA 변이 난소암 환자의 3차 치료 사용 제한을 최종 권고 받았다.
희망을 본 제줄라
제줄라는 난소암 1차 유지요법에서 생존기간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근거는 임상3상 PRIME 연구의 하위그룹 분석 결과다.
PRIME 연구 중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됐고,1차 치료로 백금기반 화학요법을 받고 CT를 통해 반응을 확인한 384명의 환자가 포함됐다.
이들 중 315명은 백금기반 화학요법에 완전반응(CR)을, 69명은 부분반응(PR)을 보였다.
중국 쓰촨대학 Rutie Yin 교수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하위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1차 백금기반 화학요법에 반응한 환자에게 제줄라 유지요법을 시행할 경우 무진행생존(PFS)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보면 27.5개월(중앙값) 추적관찰 결과, CR을 보인 환자에게 제줄라 유지요법을 시행한 군의 PFS 중앙값은 29.4개월로 집계됐다. 반면 위약군은 8.3개월에 불과했다(HR 0.45; 95% CI 0.32~0.61; P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ygyang@monews.co.kr
- * Copyright ⓒ 메디칼업저버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칼업저버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67849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경부암 검사 전 '이것' 주의해야 (0) | 2022.08.21 |
---|---|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에서 중요한 '유전자'는? (0) | 2022.08.11 |
자궁육종, 카보잔티닙·테모졸로마이드 같이 쓰면 효과 커져 (0) | 2022.07.22 |
'이 유전자' 돌연변이 있으면, 자궁내막암 예후 안 좋아 (0) | 2022.06.23 |
말기 자궁내막암 생존율 올라가나?… 불량 예후 원인 유전자 규명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