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잔티닙과 테모졸로마이드 병용 투여가 재발성 자궁육종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동물 실험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근 새로운 재발성 자궁육종 치료법을 개발할 단초가 될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궁육종은 전체 자궁암이 약 3~7%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지만, 재발이 잦고 치료가 어렵다. 자궁육종에 대한 초기 치료는 외과적 수술이지만 재발률이 약 50% 에 이르고, 원격 전이 사례도 많아 예후가 아주 불량하다. 특히 재발성 자궁육종은 전신 항암치료가 필요한데, 현재까지 치료 효과가 입증된 약제는 몇 가지 없어 새로운 약제 개발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삼성서울병원 부인암센터 산부인과 이정원·노준호 교수 연구팀은 재발성 자궁육종 환자의 암 조직으로 동물실험 및 세포 실험 전임상 치료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암환자로부터 얻은 자궁육종 조직을 이식해 마우스 모델에서 자라게 한 뒤 약물을 투여 했다.
연구팀은 카보잔티닙과 테모졸로마이드를 단독 투여했을 때 보다 두 약제를 병용 투여 받은 마우스 모델의 암 세포 및 조직의 성장이 유의하게 억제 되었으며 세포 사멸은 증가했다고 밝혔다. 카보잔티닙과 테모졸로마이드가 자궁육종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그 외 부작용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두 약제를 함께 투여 받은 모델은 체중감소나 기타 약제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카모잔티닙은 현재 국내에서 신장세포암과 간세포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항암제이며, 테모졸로마이드는 교모세포종, 수모세포종과 같은 신경계 악성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다. 두 약제 모두 현재 부인암 치료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정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현재까지 치료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었던 자궁육종의 새 치료법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전임상 시험의 단계 지표를 만족해, 2상 임상시험으로 확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임상학술지 ‘ Clinical Cancer Research’ 6월호에 게재됐다.
삼성서울병원 부인암센터 산부인과 이정원·노준호 교수./사진=삼성서울병원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7/18/2022071800831.html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에서 중요한 '유전자'는? (0) | 2022.08.11 |
---|---|
'난소암' 치료 PARP 억제제, 희비 엇갈려 (0) | 2022.08.04 |
'이 유전자' 돌연변이 있으면, 자궁내막암 예후 안 좋아 (0) | 2022.06.23 |
말기 자궁내막암 생존율 올라가나?… 불량 예후 원인 유전자 규명 (0) | 2022.06.17 |
MSD,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9' 가격 또 인상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