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당뇨병 유병률 증가 원인이 고도 비만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근 10년간 20~30대 젊은 당뇨병 환자가 늘었고, 특히 이들 환자에게서 고도 비만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하경화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당뇨병 발생률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국내 당뇨병 발생률은 2006년 인구 1000명 당 7.7명에서 2015년 6.3명으로 감소했다. 당뇨병 전 단계(당뇨병 고위험군)에서부터 신체활동 증가, 건강한 식습관, 금연, 적절한 음주 등 생활습관 개선을 장려하는 사회 전반적으로 노력 덕분으로 보인다.
그러나 젊은 층은 달랐다. 연령별로 나눴을 때 당뇨병 유병률은 40대 이후 중·노년층에서 감소하는 했는데 20~30대는 2006년 인구 1000명당 1.3명에서 2015년 1.7명으로 오히려 증가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인구 수는 20대 약 6만9000명(1.0%), 30대 17만9000명(2.4%)으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비만의 증가가 젊은 당뇨병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이 20~30대 당뇨병 진단 시 비만이었던 환자의 비율을 살폈더니, 2006년 51.4%에서 2015년 72.4%로 크게 늘었다. 특히 2단계 비만(체질량지수 30.0-34.9kg/m2)의 비율이 2006년 11.2%에서 2015년 20.4%로, 3단계 비만(체질량지수 ≥ 35.0kg/m2, 고도비만)의 비율이 2006년 0.0%에서 2015년 10.2%로 급증했다.
이렇게 40세 미만 젊은 성인에서 생기는 당뇨병을 ‘젊은 당뇨’라 말한다. 1형 당뇨는 췌장에서 인슐린을 전혀 만들지 못하는 경우며, 2형 당뇨는 인슐린이 나오더라도 부족하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해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진다.
연구의 저자 김대중 교수는 “젊은 당뇨병이 위험한 것은 심한 비만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혈당 관리가 쉽지 않고, 오랜 기간 고혈당에 노출돼 합병증이 발생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며 “이른 나이에 합병증이 발생하면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고 조기 사망 위험이 커지므로 예방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젊은 나이에도 당뇨병에 걸릴 수 있음을 인지하고, 평소 심한 비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조기에 발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 발행 SCIE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2/24/2022022402376.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당365] '가끔 오는 저혈당쯤…' 심혈관 망가지는 중일 수도 (0) | 2022.03.01 |
---|---|
'이 병' 있으면 구내염 유독 잘 생긴다 (0) | 2022.03.01 |
[의학칼럼] 꾸준한 관리 필요한 당뇨, 일상생활서 예방 가능 (0) | 2022.02.24 |
부모가 당뇨병… 자녀의 당뇨병 위험도는? (0) | 2022.02.15 |
입에서 나는 '이 냄새'… 의외의 당뇨병 신호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