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건강기능식품

[이게뭐약]비타민B만 먹으면 속 쓰린데… 왜?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2. 7.

비타민B를 먹고 위장장애가 생겼다면 약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설 연휴 이후 본격적으로 건강을 챙겨보겠다며 비타민B를 복용하기 시작한 사람이 많다. 좋다고 하니 일단 먹기 시작했지만 제대로 먹는 건지, 과유불급이라고 괜히 부작용만 생기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 비타민B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자.

비타민 B1부터 B12까지… 차이는?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는 인체의 생리활성 대사와 합성에 필요한 보조인자(co-factor)로, B1, B2, B3, B5, B6, B9, B12가 있다. B1은 티아민, B2는 리보플라빈, B3는 나이아신, B5는 판토텐산, B6는 피리독신, B9은 엽산, B12는 코발라민으로 불린다.

각 성분은 인체의 에너지합성과 대사, 필수인자 합성, 신경전달물질의 매개와 지방산·DNA합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여한다. 음식을 통해 섭취하거나, 체내 미생물에 의해 합성된다.

비타민 B, 두뇌건강에도 영향 준다는데 정말일까?
일부 비타민 B 제품은 두뇌와 혈관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고 광고를 한다. 비타민 B가 어떻게 뇌와 혈관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싶어 속는 셈치고 복용하는 사람이 많은데, 일부 비타민 B는 뇌와 혈관 건강 강화에 실제로 도움을 준다.

대한약사회 오인석 학술이사(약사)는 "두뇌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할 때는 비타민 B군이 필요하다. 또한 비타민 B군은 뇌신경물질의 합성에도 필요한 성분이다"고 말했다. 오 약사는 "그 때문에 비타민 B는 두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비타민 B12 결핍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도 연관이 있어, 비타민 B12의 보충이 필요하다는 연구도 있다.

비타민 B는 실제 혈관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이어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 등 여러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과정에 B6, 9, 12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나이아신 등의 성분도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용 비타민 B, 임산부용 비타민 B 따로 있다?
특정 비타민 B 제품은 직장인에게, 혹은 임산부에게 더 좋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특정 비타민 B군이 특정 사람에게 강력히 권고되지는 않는다.

오인석 약사는 "비타민 B 중에서도 B1, 2, 3, 5, 6 등이 탄수화물과 지방, 단백질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성분이라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임산부를 예로 보면, 임산부에게 좋은 비타민 B가 따로 있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오 약사는 "임산부는 체내 요구량이 늘어나는 비타민이 있는데, 임신 초기에는 비타민 B9가, 중기 이후에는 비타민 B6와 12의 요구량이 늘어난다. 임산부의 빈혈을 위해 철분제와 함께 이 비타민을 복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비타민B만 먹으면 속쓰림…​ 비타민 B 안 맞는 사람도 있다?
비타민 B가 안 맞는 사람도 있다는 속설이 있다. 실제로 비타민 B만 먹으면 속이 쓰리거나 복통 등 위장장애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속설은 반은 틀린 얘기이다.

오인석 약사는 "비타민 B 복합제를 복용하고 나서 위장장애를 겪는 사람 대부분은 비타민 B1 성분인 알리티아민(마늘 추출 성분)에서 형태를 변경한 푸르설티아민 성분이 들어 있는 제제를 먹은 경우다"고 말했다. 오 약사는 "이런 경우엔 벤포티아민 성분으로 나온 제제로 변경해볼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타민 B3(나이아신)도 과량 복용 시 오심, 구토 등의 위장장애가 보고되고 있다. 적정용량의 나이아신이 함유된 제품인지도 다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2/04/202202040200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