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당뇨교실

당뇨발 환자 '절단' 위험 높이는 요인 알아봤더니…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1. 9. 5.

당뇨병성 족부병증의 중증도와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당뇨병성 족부병증의 중증도와 사회경제적 지위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가 나왔다.

흔히 ‘당뇨발’로 불리는 당뇨병성 족부병증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 환자 발의 피부에 만성 궤양 및 골수염이 일어나는 심각한 질환이다. 치료되지 않고 방하면 병변부의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상황까지 악화될 수 있다. 한 번 발생하면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보라매병원 성형외과 박지웅·하정현 교수, 진희진 박사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NHIS-NSC)에 등록된 976,252명 중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를 선별하고, 이들의 소득과 보험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예후 차이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전체 97만6252명 중 1362명이 당뇨병성 족부병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들에게서 사회경제적 지위와 당뇨병성 족부병증으로 인한 족부 절단 및 사망률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56일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당뇨병성 족부병증으로 인한 족부 절단은 61명의 환자에서 발생했는데, 다변량 분석 결과 저소득층(SEP: Low socioeconomic position)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절단 위험이 최대 5.13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의 5년 내 사망 위험 역시 저소득층에서 2.65배가량 높았다. 이에 연구진은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증상 악화로 인한 족부 절단 및 사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인 것으로 판단했다.

박지웅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서 의료수급권자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일수록 당뇨병성 족부병증 발생에 따른 예후가 매우 나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의료 문턱이 높은 취약계층은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으므로 정기적인 검사 지원 등 국가 차원의 의료 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공중위생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2021년 7월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9/02/202109020126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