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대장암

진화하는 대변 검사… 대장내시경 대체할까?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1. 7. 4.

단백질 검사로 정확도 높여… 암 외에 궤양·크론병 진단

대변 속 단백질을 측정해 대장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대장암과 같은 대장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해야 한다. 현재 국가암검진에서는 선별검사를 위해 내시경이 필요 없는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다소 정확도가 떨어지는 탓에 유용하게 쓰이지는 못했다. 이에 최근에는 대변만으로도 상당히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진단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변 검사가 대장내시경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지만, 선별검사 도구로서 조기 진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대변 속 '단백질' 측정… 기존 검사보다 정확해
최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된 바에 따르면 미국 휴스턴대 생물의학과 찬드라 모한 교수팀은 대변에 존재하는 혈액뿐 아니라 특정 단백질 수치를 측정해 대장질환을 감별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했다. 기존의 대변검사에서는 대변 속 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해 양성 여부를 결정했는데, 출혈은 암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단백질에 달라붙어 미끼 역할을 하는 '압타머(aptamer)' 기반 검사를 통해 대장암과 관련된 단백질 지표들을 발견했다. ▲대변 MMP9 ▲피브리노겐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 ▲합토글로빈 등이다. 이들 단백질 지표를 측정하면 기존 검사법보다 높은 정확도로 진단이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모한 교수팀은 이 진단법으로 염증성장질환도 진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 환자의 대변 샘플을 분석해 같은 방법으로 단백질 지표들을 발견한 것이다. 기존에도 염증성장질환 등을 진단하기 위해 '칼프로텍틴' 분변 검사를 사용해오고 있으나, 여기에 다른 단백질 지표를 추가로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기존 검사법으로는 확인할 수 있었던 질병 예후까지 추측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모한 교수는 "새로운 단백질 지표를 이용하면 질병의 진단뿐 아니라, 앞으로 질병이 악화할지 여부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외에도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검사로 암을 구별하고자 하는 시도는 계속 이어져 오고 있다. 지난 2019년 미국 위스콘신대 연구팀은 대장에 생긴 '용종(폴립)'이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혈액 검사만으로 감별할 수 있는 단백질 지표를 발견하기도 했다. 최근 국내에서 도입되고 있는 '대변 DNA 검사'도 있다. 분변에서 검출된 DNA에서 암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메틸화 여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원리다. 다만, 비교적 고가인 비용 때문에 대규모 선별검사 용도로 쓰기는 어렵다는 한계는 있다.

◇선별·추적검사 용도, 불필요한 내시경 검사 줄일 수 있어
안타깝게도 아직 분변 검사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고봉민 교수는 "지금으로선 치료 목적으로 암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 대장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를 꼭 해야 한다"고 말했다. 찬드라 모한 교수는 "언젠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지 않고도 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찾아 대장내시경을 대체하길 바란다"며 "(대체하지 못하더라도) 간단한 대변 검사는 병원 방문 없이 우편으로 시행하는 등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봉민 교수는 "기존의 혈액만 측정하는 분변 검사는 아스피린 등을 복용해 소량의 출혈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었다"며 "보다 정확한 진단법들을 활용하면 대장내시경을 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봉민 교수는 "대장내시경은 아무래도 침습적 검사이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자주 시행하기는 어렵고, 굳이 과도하게 시행할 필요도 없다"며 "대변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면 선별검사나 용종 제거 후 추적검사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7/01/202107010164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