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 섭취가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 결과가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방암은 5년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높지만, 비교적 흔한 데다 재발이 잦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암 중 하나다. 유방암 위험을 낮춘다고 알려진 입증된 생활습관들을 실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유방암 위험 낮추는 방법을 알아본다.
◇매일 20분 이상 햇볕 쬐기
매일 20분 이상 햇볕을 쫴 체내 적정량의 비타민D를 합성하는 게 중요하다. 비타민D는 세포 분열을 강력하게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유전자 조절을 통해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고 정상세포가 자라는 것을 돕는다. 미국 캘리포니아 의과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 혈중 비타민D 수치가 60ng/ml 이상인 여성은 20ng/ml 이하인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률이 5분의 1로 낮았다. 최근 덴마크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야외에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위험이 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 즐겨 먹기
양배추를 즐겨 먹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 미시건 주립대와 폴란드 국가식품연구원이 시카고와 그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폴란드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주일에 양배추를 최소 3회 이상 섭취한 여성들이 단 1회만 섭취한 여성들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상당히 낮았다. 연구팀은 “양배추에 함유된 인돌-3-카비놀 성분이 이상 세포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작용을 한다”고 밝혔다. 인돌-3-카비놀 성분은 유방과 여러 세포의 막에 장애물을 설치함으로써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자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방암을 억제한다. 인돌-3-카비놀 성분은 미국에서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요통 등 생리전 증후군 완화를 위한 약초치료제로 판매되고 있기도 하다.
◇폐경 후 적정 체중 유지하기
폐경 후 비만이 되지 않게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관건이다. 폐경 여성의 체중이 적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유방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2009~2014년 국가 건강검진 및 암 검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약 600만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만도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후의 유방암 발생을 추적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폐경 전에는 비만에 따라 암 발생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폐경 후에는 비만 정도에 따라 유방암 발생 위험이 오르는 경향이 뚜렷했다. 유방암의 경우 정상체중군(BMI 18.5~23)에 비교해 과체중(BMI 23~25) 11%, 비만(BMI 25~30)은 28%, 고도비만(BMI >30)은 54%로 각각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폐경 전후 비만이 유방암과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이유는 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폐경 전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비만의 암 유발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일 수 있다”며 “폐경 후에는 비만이 되기 쉽지만, 이는 암 발생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만큼 살이 찌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13/2021041301868.html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 예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경부암 백신, 남자가 맞으면 어떤 일이? (0) | 2021.04.24 |
---|---|
남성이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아야 하는 이유 (0) | 2021.04.19 |
'가다실9' 4월부터 더 비싸진다… 1회 24만원 훌쩍 (0) | 2021.03.20 |
역류성 식도염, 일부 암 발생 위험 높여 (0) | 2021.03.05 |
고기 먹을 때 '발암물질' 덜 섭취하려면? (0) | 2021.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