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담도암

담낭암 치료제 개발 가능성 높아지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0. 11. 19.

서울대병원 장진영 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담낭암을 일으키는 새로운 원인 유전자를 발견, 그 기능을 규명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장진영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교수(사진) 연구팀은 담낭암의 발병 빈도가 높다고 알려진 한국, 인도, 칠레의 담낭암 환자 총 167명의 조직을 이용해 통합 유전체 분석을 시행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이 연구 기획 단계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해 인도, 칠레 등의 다빈도 국가 및 미국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담낭암 발생률이 지리적 차이가 강하다는 점을 고려해 다른 세 지역(한국, 인도, 칠레) 담낭암 환자의 포괄적인 유전체 분석을 수행하고, 몇 가지 표적 가능한 유전자 변형을 식별했다.

그 결과 기존에 주로 서양 환자에서 밝혀진 담낭암의 원인 유전자 외에 한국, 인도, 칠레 환자군에서는 새로운 원인 유전자인 ELF3 변형의 빈도가 특히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과거에는 담도계 종양에서 ELF3 유전자 변형이 3-9.5%로 보고됐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환자의 31%, 칠레 환자의 22%, 인도 환자의 7%에서 발견됐다.

또한, 새로운 유전자의 발견은 이 유전자를 표적 항원으로 인식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예후가 좋지 않으며 특이적인 치료제가 없었던 담낭암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담낭암 환자에 특이적인 새로운 표적치료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장진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과거 발병률이 높지 않았던 서양 환자가 아닌 한국을 비롯한 담낭암의 발병률이 높은 나라의 연구 결과라는 점에서 큰 의미"라며 "연구 결과 담낭암의 유전적 특성이 동서양에 따라 매우 상이하므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호발하는 암종의 경우 서양과는 다른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그는 이어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좀 더 면밀한 후속 연구 및 치료제의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특히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게 돼 이 연구에 참여한 모든 연구진 및 환자에게 감사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높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 8월호에 게재됐다.


의학신문 의학신문 안치영 기자 synsizer@bosa.co.kr

  • * Copyright ⓒ 의학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