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털은 제거하지 않는 게 좋지만, 어쩔 수 없다면 뽑지 말고 잘라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삐져나온 코털이 보기 흉해 주기적으로 제모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중년 남성들에게 흔하다. 코털을 제거하고 싶다면 전용 가위 등으로 잘라내야 한다. 족집게 등으로 함부로 뽑았다가는 감염으로 패혈증에 이를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중년 남성에게서 코털이 긴 경우가 많은 것은 호르몬 변화 때문이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5알파 환원효소와 결합해 DHT라는 대사물질로 바뀐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DHT 생성량이 증가하는데, DHT가 눈썹이나 콧속, 턱에 있는 모낭에 도달하면 성장촉진 인자(IGF-1)를 생성하면서 털이 더 길게 자란다. 머리는 갈수록 얇아지고 빠져도, 코털은 두꺼운 이유다.
미관상 좋지 않은 코털은 어떤 역할을 하는 걸까.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고, 이물질을 걸러 우리 코의 면역반응을 담당한다. 따라서 미용을 위해 습관적으로 코털을 제거하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특히 피부에 깊이 박힌 코털을 힘주어 뽑다 보면 모공에 상처가 생기기 쉽다. 이 상처에 세균이 감염돼 염증이 생길 수 있는데, 드물게 뇌막염이나 패혈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노인이나 만성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코털을 관리하고 싶다면 뽑기보다는 코털 손질 전용 가위를 이용해 밖으로 삐져나온 코털 끝만 살짝 잘라주는 게 좋다. 시중에 출시된 기계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기계를 콧속 깊이까지 넣으면 코털이 과하게 제거되거나, 코 점막이 상할 수 있다. 기계를 이용할 때도 앞쪽의 코털만 제거한다는 생각으로 조심해서 사용할 것을 권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1/2020102102652.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면 원하세요? 침대 눕기 전 해야 하는 일 4 (0) | 2020.11.02 |
---|---|
꿈꾸다 옆 사람에게 발차기? "우울증 환자일 확률 높아" (0) | 2020.10.31 |
'냄새' 못 맡으면 코로나? 비염·치매가 원인일 수도… (0) | 2020.10.24 |
인공눈물 열심히 넣어도 효과 없다면… '방법' 점검하세요 (0) | 2020.10.15 |
코로나19에 햇빛 못 보면… 骨 건강 '폭삭'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