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제13차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휴전선 접경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을 간 사람,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에게 말라리아 예방수칙 준수 및 감염 주의를 당부했다.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Species)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이다. 현재까지 총 5종(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에서 인체 감염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삼일열말라리아는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환자의 90%가 발생한다. 2019년 기준 국내 지역별 발생 인원은 경기 북부 314명(64.7%), 인천 98명(20.2%), 강원 북부 25명(5.2%)이다.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 등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연간 7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을 여행할 때는 되도록 해질녘에서 새벽시간까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실내에서 잘 때 가급적 창문을 닫고, 적절한 방법으로 모기장을 설치하고 취침한다. 어두운 색은 모기를 유인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하게 야간 외출 시에는 가능한 밝은 색의 옷을 입고 긴 팔, 긴 바지 등을 착용하여 모기와의 접촉빈도를 줄인다. 기피제를 사용하면 일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야외에서 취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모기장을 이용한다. 운동 후에는 반드시 샤워하는 게 좋다. 임산부는 체온이 높고 대사량이 많아 비교적 모기가 많이 유인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외 말라리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4/2020042401254.html
'교류의 장 > 여행을 떠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흔들바위 (0) | 2020.06.10 |
---|---|
실내수영장 vs 워터파크... 코로나19 안전지대는? (0) | 2020.06.05 |
정부, ‘코로나19 예방 위한 국립공원 안전수칙’ 이행 당부 (0) | 2020.04.27 |
골프의 聖地, 마니아들의 버킷리스트라는 그곳! (0) | 2020.02.16 |
하와이의 원시 속살, 이렇게 솔직할 수가! (0) | 2020.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