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갑상선암

갑상선 수술 후 2개월째 '우울증' 위험 최고조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9. 30.

우울해 하는 여성

갑상선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100명 중 9명은 우울증에 빠지고, 특히 수술 2개월째 우울증 발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갑상선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100명 중 9명은 우울증에 빠지고, 특히 수술 2개월째 우울증 발병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이비인후과 정만기, 내분비대사내과 김선욱, 사회의학교실 신명희 교수 연구팀은 미국 하버드대 메사추세츠종합병원과 함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토대로 2009~2016년 갑상선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18만7176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간 우울증이 발생한 갑상선 절제 환자는 모두 1만6755명으로, 전체 환자의 8.9%다. 또한 갑상선 절제 수술 후 2개월째 우울증 위험도가 가장 높았고, 이 시기 전절제 환자의 경우에 부분절제 환자보다 우울증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갑상선 전절제 환자의 경우 수술 1년 전과 비교해 수술 2개월째 우울증 발생률이 1.81배로 최고치에 달했다. 부분절제 환자 역시 1.68배로 이 기간 발생률이 가장 높다. 수술 직전에는 각각 1.27배, 1.29배였다.

이러한 증가 경향은 수술 후 1년가량 지속되다 점차 수술 이전 수준으로 낮아졌다. 다만 암으로 갑상선 절제 수술을 받은 경우 이보다 지속 기간이 길어 최장 2년까지 이어졌다.

발병 위험을 고려하면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에서, 성별로는 남성이 더욱 취약했다. 50대 이상 남성의 상대적 발병 위험은 1.4배로 같은 나이대 여성 (1.1배)에 비해서도 높다.

전홍진 교수는 “갑상선 절제수술을 받는 환자라면 우울증 발생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우울, 의욕저하, 불안, 불면증 등 우울증 초기 증상이 있으면 곧바로 정신건강 전문의를 찾아 상담과 치료를 병행해야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4/201909240144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