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계로 혈압을 한 번 쟀는데 '정상' 수치가 나왔다면 안심해도 괜찮을까? 그렇지 않다. 혈압은 주변 환경·시간·몸의 상태·측정 부위 등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기도 한다. 여러 번 측정해보는 게 안전하다.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일반적으로 심장이 수축했을 때인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일 때를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그러나 이는 단 1회의 측정만으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비교적 정확한 혈압은 '활동혈압'인데, 보통 24시간 동안 15~30분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해 평균을 매긴다. 그러나 이는 하루 종일 혈압 측정장치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최근 전문가들은 이보다 편리한 집에서 직접 혈압을 재는 '가정혈압' 측정을 권장한다.
가정혈압은 평소 환자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가정에서 측정하므로 오차가 작고 정확하다. 또 측정 방법이 간편해 미국 등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가정혈압 측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실제로 교육 후, 적극적으로 가정혈압을 측정한 사람 중 70%가 목표 혈압 수치에 성공적으로 도달했다. 가정혈압은 아침 2회, 저녁 2회씩 하루 총 4회 측정한다. 가정혈압 측정 시 고혈압 진단 기준은 최고혈압 135㎜Hg·최저혈압 85㎜Hg 이상으로, 진료실에서 측정했을 때(140/90㎜Hg) 보다 엄격하다.
혈압을 잴 때는 심리적으로 안정하고 편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아침에는 식사와 약물 복용 전에 화장실을 다녀오고 5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측정해야 한다. 저녁에는 잠자리에 들기 전 화장실에 다녀온 후에 측정하고, 측정 30분 전부터는 카페인·알코올의 섭취를 피하고 담배를 피우지 않아야 한다. 같은 방법으로 1~2분 간격으로 총 두 번 측정해, 두 수치의 평균을 낸 값이 본인의 정확한 혈압 수치다.
혈압 측정기를 사용할 때 압박대는 심장 높이와 같게 하고, 너무 꽉 조이기보단 손가락 한두 개가 들어갈 정도로 여유롭게 하는 게 좋다. 측정 도중에는 움직이거나 말을 해선 안 된다. 다리를 꼬는 것도 금물이다. 측정 시 다리를 꼬면 혈압이 2~8㎜Hg 정도 높게 나올 수 있다. 혈압이 높게 나왔다면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진단에 따라 체중조절, 식이요법, 약물치료 등을 통해 혈압을 조절해야 심근경색 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0/2019092001734.html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증상, 다시 좋아질 수 있을까? (0) | 2019.10.01 |
---|---|
평소에 말 없는 여성, 뇌졸중 위험 더 높다 (0) | 2019.09.30 |
고혈압약 복용 중이라면 피해야 할 '식품' (0) | 2019.09.23 |
“심장 나이 확인하면 ‘뇌졸중’ 막을 수 있다” (0) | 2019.09.23 |
간접흡연 노출 시 고혈압 위험 높아진다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