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인 3명 중 1명 이상이 비만이고, 연령별로는 50~60대에서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 국민건강통계'를 토대로 국내 비만 실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만 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34.8%였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각각 38%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35.3%), 70세 이상(34.7%), 30대(33.4%), 20대(29.4%)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41.1%, 여성이 28.4%로 12.7%p 차이를 보였고, 주관적 비만 인지율은 남성 82%, 여성 86.2%였다. 주관적 비만 인지율은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사람 중 본인의 체형이 '약간 비만' 또는 '매우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분율이다(체질량지수 정상 범위는 20~25).
소득수준별로 봤을 때는 소득수준이 낮은 그룹의 비만 유병률이 더 높았다. 비만 유병률이 소득이 높은 5분위 그룹은 31.2%인 반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은 38.6%였다.
한편 전체 체중감소 시도율은 58.4%였고, 남성은 55.6%, 여자는 62.6%로 집계됐다. 체중감소 시도율은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사람 중 최근 1년간 본인 의지로 체중을 감소하려고 노력한 분율이다. 연령별로는 남자의 경우 20대 52.9%, 30대 53.7%, 40대 57.0%, 50대 59.5%, 60대 60.1%, 70세 이상 42.7%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 반면, 여자의 경우 20대 74.9%, 30대 78.0%, 40대 67.0%, 50대 66.0%, 60대 64.8%, 70세 이상 36.7%로 나타나 40대부터는 ‘체중감소 시도율’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재근 의원이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비만으로 인해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7만598명(0~19세 포함)으로 이에 따른 진료비는 약 66억 원, 이 중 급여비는 약 44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보험료분위별 진료인원은 소득이 가장 많은 10분위 그룹(1만125명)의 경우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 그룹(4141명) 보다 2.4배로 많았다.
비만은 체내 염증을 유발하고, 당뇨병, 고혈압, 심지어 암 같은 중증질환 위험도 높여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채소·과일 위주의 식습관을 지속하며, 1주일에 3회 이상 운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11/2019091100958.html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시영 몸무게공개, 체지방 너무 낮으면 어떤 부작용이? (0) | 2019.09.23 |
---|---|
다이어트 위해 식단조절+운동, 골다공증 위험↑ (0) | 2019.09.16 |
천천히 몸 망가뜨리는 '만성염증'… 근원지는 뱃살 (0) | 2019.09.10 |
다이어트로도 빠지지 않는 겨드랑이 살, '부유방' 의심해야 (0) | 2019.09.01 |
체지방 10kg 증가하면 우울증 위험 17% 높아져 (0) | 2019.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