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켜놓은 TV 소리가 유난히 듣기 싫고, 작은 소음도 견디기 어렵다면 '청각과민증'을 의심할 수 있다. 청각과민증은 일정 소리를 소음으로 인식해 청각이 유독 예민하게 반응하는 질환이다. 청각과민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신경 쓰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소리나 일상적인 소음에도 괴로움을 느낀다. 스트레스가 반복되면 정신적인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청각과민증은 귓속 근육이 마비돼 생긴다. 귓속 근육이 마비되면 소리가 여과되지 않고 곧장 청세포를 자극한다. 또 감각 기능이 유독 발달해 반복되는 소리에 익숙해지지 않고 예민해진다. 보통 어떤 소리를 반복해서 들으면 자극에 둔감해지는 게 일반적이지만, 청각과민증 환자는 반대로 자극에 점점 더 예민해진다. 이를 '자극박탈상황'이라고 말한다. 주변 상황이 조용할수록 잘 생긴다. 낮에는 들리지 않던 시계 초침 소리가 조용한 밤에 유독 잘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청각과민증을 완화하려면 불편하게 느껴지는 소리를 오히려 자주 듣는 적응 훈련을 하는 것이 좋다. 귀와 뇌의 청신경이 그 소리에 적응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도저히 참기 힘들다면 귀마개를 이용해 잠시 피하는 게 좋다. 만약 특정 장소에서 들리는 소리에 민감한 것이라면 그곳에 갈 때 귀마개를 챙기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기 때문이다.
적응 훈련을 해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근육·신경을 안정시키는 약물을 쓴다. 일정 시간 동안 '소리치료 기계'를 귀에 장착하는 방법도 있다. 한편 청각과민증은 이명·소음성난청·메니에르병·편두통 등 다른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른 질환에 대한 치료가 동반돼야 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01/2019080101553.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 아프고 피곤한 게 '앉은 자세' 때문? (0) | 2019.08.15 |
---|---|
얼굴만 잘 살피면 몸속 부족한 영양소 알 수 있어 (0) | 2019.08.15 |
열대야 불면증? 놔두면 만성화… 아침에 꼭 해야 할 것은 (0) | 2019.07.31 |
"제산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다" (0) | 2019.07.31 |
[스크랩] 열대야를 잘 이겨내는 방법..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