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한방상식

대장암 환자에게 한의학 치료의 역할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3. 31.

▲ 후마니타스암병원 한의면역암센터 이준희 교수가 진료를 보고 있다. (사진=경희의료원 제공)

▲ 후마니타스암병원 한의면역암센터 이준희 교수가 진료를 보고 있다. (사진=경희의료원 제공)


한의학에서는 대장암의 대표적인 원인을 습열(濕熱)로 손꼽고 있다. 과다한 동물성 지방과 육류(특히 붉은색 고기)를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생활습관상의 원인이다.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도 마찬가지다. 선천적인 체질요인도 중요한 인자가 되는데, 대장암 환자는 사상체질 중 태음인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대장암의 한의학 치료에 대해 경희의료원 후마니타스암병원 한의면역암센터 이준희 교수에게 들어봤다.

항암·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는 대장암 자체 증상 뿐 아니라 부작용으로 인한 소화불량과 메스꺼움, 구토와 더불어 피부건조, 손발 저림, 식욕부진 등 전신 증상을 호소한다.

이 교수는 “수술 이후 실시하는 보조항암화학요법 기간이 일반적으로 5개월 내외임을 감안하면 체력저하는 물론 불안, 우울, 불면 등의 정신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의학적 치료의 병행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항암 요법이 없는 기간에는 주 2~3회 간격으로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 부작용 및 합병증을 최소화한다. 대표적으로 침, 뜸, 약침 치료가 있다. 이외에도 약화된 장부 기능을 회복하고, 습열과 어혈을 제거하는 한약을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수술 이후 발생하는 복통, 배변 시 불편감, 설사 등과 같은 후유증은 침·약침·뜸·온열 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한다. 침·약침 치료는 대장과 복강 내로 연계된 경혈, 경락 등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정상적인 대장 운동의 회복을 도와준다.

이 교수는 “뜸 치료는 복강 내 기혈순환을 촉진시켜 수술 후에 발생하는 어혈을 빠르게 해소시켜준다”며 “주로 천추, 관원, 중완 등의 경혈에 시술하며 수술 이후 입원 시에는 매일, 퇴원 이후에는 주 2~3회 정도 치료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항암 한약치료는 수술 후 혹은 항암 약물 치료 종료 후에 진행하는데, 대장암의 대표적인 원인인 습열을 제거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한, 습열이 발생하기 쉬운 전신의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치료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암을 이겨내는 힘을 극대화하고 치료 중 흐트러지고 약화된 장부기능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메디컬투데이 이한솔 기자 lhs7830@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99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