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암환자 제2의 고통, ‘암성통증’,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3. 21.

박성욱 교수(경희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박성욱 교수

'암입니다'라는 말에 환자는 심리적인 공포를 느낀다.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함께 수술, 항암 등 치료 간 발생하는 신체적 고통이 더해진다. 이 외에도 암환자가 겪는 가장 흔하면서도 고통스러운 증상이 있다. 바로 '암성통증'이다. 암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암성통증은 진행암 환자의 약 64% 정도가 경험하고 있다.

암성통증 치료, 다학제적인 접근 필요해

암성통증은 단어 그대로 암환자가 겪는 통증을 뜻한다. 원인은 크게 ▲종양 ▲수술, 방사선 치료 등 암 치료 ▲치료에 의한 전신쇠약 ▲환자가 가지고 있던 두통 등 기타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통증의 정도는 암의 종류, 진행 정도 및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암성통증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원인이 되는 암성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암의 완치를 뜻하는 것으로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을까?

암성통증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 약물 부작용 등 개인별 고려되 어야 할 요소가 많다. 환자별 맞춤화된 치료계획을 바탕으로 약물 치료, 중재적 통증 치료, 방사선 치료, 심리 사회적 지지 등을 포괄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약물치료, 환자 개개인별 맞춤화는 필수!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을 최소화해야

대표적인 암성통증의 치료는 '약물'을 활용하는 것이다. 환자의 통증 강도, 동반 질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는 마약성과 비마약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약성 진통제는 통증 단계와 상관없이 투여하여 증상을 조절하는데, 경구 투여를 원칙으로 한다. 물론, 적정용량은 있다. 부작용 없이 통증이 조절되는 용량으로 환자마다 그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개별화해 투여해야 한다.

약물치료의 단점은 바로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용량 대비 진통완화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무조건적인 증량보다는 환자 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조절할 필요가 있다. 통증에 따라 고용량의 진통제가 필요하다면, 복합성분보다는 단일성분 진통제를 권하며, 충분히 증량해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면 통증을 재평가해야 한다. 재평가 후에는 진통제를 전환하거나 보조진통제 투여, 중재적 통증 치료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를 혼용하면, 한 가지만 사용 하는 것에 비해 진통효과가 좋다. 각각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마약성 진통제를 적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단, 비마약성진 통제는 위장장애가 있거나 감염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암성통증 환자의 대부분은 2주 이상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 중독을 우려할 수 있지만, 굉장히 드물다. 물론, 반드시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평가 및 교육이 동반돼야 한다.

중재적 통증 치료는 최후의 수단! 약물 치료와 병행하면 높은 효과 기대할 수 있어

중재적 통증 치료는 통증 전달을 억제하거나 척수강, 신경총에 약물을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신경 차단, 척수 진통법이 있다. 약물치료 간 통증이 조절되지 않거나 투여에 어려움에 있는 환자에게만 권장되며, 패혈증, 시술 부위의 감염, 혈액 응고장애 등이 있다면 적합하지 않다.

중재적 통증 치료는 약물 치료와 병행돼야 통증해소 및 진통제 증량에 따른 부작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중재적 통증 치료만으로는 완전한 통증해소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통증 조절의 최후이자 보조적인 수단으로 고려돼야 한다.

통증 평가 및 치료에 걸쳐 심리사회적 지지는 물론 통증관리에 대한 보호자·환자 대상 교육이 선행돼야 하며 물리치료, 마사지 등과 같은 물리적 요법과 인지 요법이 병행돼야 한다.


팜뉴스 이서하 기자 yunsuk23@pharmnews.co.kr

  • * Copyright ⓒ 팜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96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