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안상준 기자] '암'과 '희귀질환'이 미래 가장 유망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분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발간한 'BioINdustry 산업동향 보고서(유전자 치료제 시장현황 및 전망: 질환별·유형별 유전자 치료제 시장 중심으로)에 따르면, 전 세계 유전자 치료제 시장은 지난 2016년 5억8400만 달러(한화 약 6584억원)에서 연평균 33.3% 성장해 오는 2023년 44억2000만 달러(한화 약 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유전자 치료제는 결핍·결함 유전자가 교정되도록 해 질병을 치료하는 치료제다. 결핍·결함 유전자의 교정을 위해 기존 유전자를 교정·교체·보충해 질병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
- '암'과 '희귀질환'이 미래 가장 유망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분야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두 질환은 향후에도 가장 큰 유전자 치료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암·희귀 질환, 전체 유전자 치료제 시장 60% 차지
질환별 유전자 치료제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암과 희귀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제가 전체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어 신경질환·심혈관질환·전염병 치료제 순이다.
이 중 심혈관질환 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경우 오는 2023년까지 연평균 35%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암 유전자 치료제는 다양한 치료 방식과 탁월한 효능으로 인해 현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암을 앓고 있는 대규모 환자 집단과 암 유전자 치료제 승인 효과 등으로 인해 향후 빠른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
보고서는 암 유전자 치료제 시장이 지난 2016년 2억8400만 달러(한화 약 3200억원)에서 연평균 32.4% 성장해 오는 2023년에는 20억3900만 달러(한화 약 2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 2016~2023년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시장현황 및 전망(단위=백만달러, 자료=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희귀질환 유전자 치료제는 암에 비해 환자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연구가 수행 되고 있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동일 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유전자 치료제도 존재한다.
이에 지난 2016년 1억1300만 달러(한화 약 1276억원) 규모였던 희귀질환 유전자 치료제 시장은 오는 2023년 9억900만 달러(한화 약 1조268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혈관질환 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경우 최근 심혈관질환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비용 부담도 높아지고 있어 치료 대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4400만 달러(한화 약 497억원) 규모의 시장이 오는 2023년 3억6000만 달러(한화 약 4065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 2016~2023년 질환별 유전자 치료제 시장현황 및 전망(단위=백만달러, 자료=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유전자 치료제, R&D 투자 '활발' … 높은 가격은 '약점'
유전자 치료제 R&D에 대한 활발한 투자는 관련시장을 크게 확대시킬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효능 향상을 위한 협력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전자 치료제 제조사의 자금 조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유전자 치료제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WHO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전 세계적으로 약 880만 명이 암으로 사망했다. 현재 암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이 활발한 상황으로, 암 발병률 증가와 함께 시장 또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전자 치료제 비용이 비싼 점은 시장 저해요인으로 꼽힌다. 유전자 치료제 개발은 주로 노동 집약적이며 일반인이 아닌 특정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되는 만큼 치료비용이 높은 편에 속한다.
실제 EU 시장 최초 유전자 치료제 '글리베라'의 치료비용은 거의 100만 달러(한화 약 11억3000만원)에 가까워 2017년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헬스코리아뉴스 안상준 기자 admin@hkn24.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88953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대 의학적 치료로 99.9%의 암세포를 제거하여도 남아 있는 0.1% 암세포가 문제!! (0) | 2019.02.06 |
---|---|
[스크랩] 말기 암환자, 임종 48시간 이내 나타나는 특징 `뚜렷` (0) | 2019.01.31 |
[스크랩] "일반인 46%·의사 63%, 연명의료 중단 의사 있다" (0) | 2019.01.24 |
[스크랩] 지피지기 백전불패, 암을 알아야 한다. (0) | 2019.01.21 |
[스크랩] 암경험자 자가관리 앱 ‘에필 케어’ 출시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