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국가 암 검진 대상에 폐암이 새로 추가된다. 폐암의 조기 발견율을 높여 생존율을 올리겠다는 목표다. 대장내시경을 통한 대장암 1차 검사 시범사업도 함께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권덕철 차관 주재로 19일 국가암관리위원회를 열고 내년부터 국가 암 검진사업에 폐암검진을 도입키로 했다. 만 54~74세 남녀 중 매일 담배 1갑씩 30년 이상 흡연한 사람을 대상으로 2년마다 폐암검진을 실시한다. 현재 1인당 11만원 정도 드는 검진 비용은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1만원 수준으로 줄어든다. 건강보험료 기준 하위 50% 가구나 의료급여수급자 등은 본인부담이 없다.
폐암은 전체 암종 중 사망자수가 가장 많다. 일반인의 5년 생존율 대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을 의미하는 ‘5년 상대생존율’이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은 70%를 넘는 데 비해 폐암은 26.7%에 불과하다. 다른 암보다 5년간 생존할 확률이 낮다는 의미다.
이는 조기발견율이 다른 암에 비해 낮은 점과 연관이 있다. 위암과 유방암 등은 조기발견율이 60% 안팎인 반면 폐암은 20.7%에 그친다. 수술이 가능한 조기 단계에 폐암을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64%까지 오른다.
복지부는 지난해 2월부터 최근까지 폐암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조기 발견 비율이 69.6%로 일반 폐암환자 조기발견율(20.7%)의 3배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복지부는 “폐암의 조기 검진이 활성화하고 폐암 생존율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복지부는 또 대장암검진 시 1차 검사로 대장내시경을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현재 대장암검진은 대변에서 혈흔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먼저 검사한 뒤 대장암 의심 소견자에 한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최근 개인 건강검진 때 대장내시경을 받는 경우가 늘어난 만큼 국민적 선호를 반영해 내시경을 통한 대장암검진의 효과를 검증키로 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시범사업은 2~3개 시·군을 선정해 만 50~74세인 해당 지역 거주자 2만700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진행된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 예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그네슘` 많이 먹으면 대장암 예방 이유 있네 (0) | 2019.01.01 |
---|---|
[스크랩] 유기농 식품이 암 발생률을 낮춘다 (0) | 2018.12.26 |
[스크랩] "폐경 후 체중 관리, 유방암 예방에 필수입니다" (0) | 2018.12.20 |
[스크랩] 암 90%는 나쁜 생활습관 탓... 예방법 10가지 (0) | 2018.12.12 |
[스크랩] 암 예방을 위해, 살을 빼야 한다?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