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음식&요리

[스크랩] 소화불량, 여성이 남성의 1.5배… 피해야 할 음식은?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8. 11. 1.

배 감싸쥔 여성

국내 소화불량 환자는 여성의 수가 남성의 1.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소화불량 환자는 여성이 남성의 1.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2017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화불량 환자가 지난 2012년 약 68만명에서 2016년 60만명으로 감소했다가, 2017년 61만6000명으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으로 남성은 24만6000명, 여성은 37만명으로 여성 환자 수가 남성의 1.5배였다. 인구 10만명당 비율로 봐도 여성은 1458명, 남성은 963명으로 인구 수를 고려해도 여성이 남성의 1.5배였다. 

2017년 기준, 연령별로 분석했을 때는 60대(9만7000명, 15.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70대 이상(9만 명, 14.6%), 50대(8만1000명, 13.1%) 순이었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6000명, 14.6%)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6000명, 14.5%), 50대(3만1000명, 12.6%) 순이며, 여성은 60대(6만1000명, 16.6%)이 가장 많았고, 70대 이상(5만4000명, 14.6%), 50대(5만 명, 13.5%) 순이었다. 2017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여성이 259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1921명, 50대 1476명 순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소화불량 진료 인원
사진=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원성영 교수는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많은 이유에 대해 “대부분의 연구에서 남녀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고, 일부 연구에서 여성이 조금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며 "아마도 통증의 역치가 여성이 남성보다 낮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 교수는 “소화불량증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다른 질환으로 진행되는 질환은 아니지만, 이러한 증상으로 환자가 느끼는 삶의 질이 낮아져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이 좋다"며 "또한 위험한 질환의 경고 증상일 수 있어 간과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소화불량은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상복부 중앙부위가 아프거나 불편한 것이다. 쓰림, 팽만감, 조기 포만감, 식후 만복감, 구역, 식욕부진, 역류, 트림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아직 질환의 명확한 병태생리를 모르는 '비균질성 질환'으로 분류되는데, 위 저부의 적응장애, 위 내장 감각의 비정상적이 예민성, 정신 사회적 요소, 산분비과다, 십이지장의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원인이 유력한 발생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위산분비 억제제, 위운동 촉진제, 위저부 이완제 등의 약제를 조합해 복용한다. 그래도 낫지 않거나 불안, 우울 등이 동반된 경우 정신적인 치료 약물의 사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

소화불량증 환자 대부분은 증상이 음식과 관련이 있다고 호소하고,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나빠진다고 한다. 지방이 많은 음식은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려 소화불량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카페인 음료나 알코올,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도 먹지 않는 게 좋다. 식이섬유는 위 내용물의 배출을 느리게 하므로 소화력이 많이 떨어져있는 환자는 피한다. 식생활 습관의 교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불규칙한 식생활은 장기간의 결식으로 인한 위장 점막의 위축이나 위산에 의한 손상을 일으키며 그 후 과식에 의한 소화불량의 증상의 악화를 초래 할 수 있다. 밤늦은 식사는 밤에 생리적인 위배출기능 저하를 유발해 소화불량 증상을 악화한다. 식후의 과격한 운동도 위배출기능 저하, 위식도 역류에 의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즐겁지 않은 식사도 역시 위 배출기능을 떨어뜨리며 급한 식사습관도 위의 이완기능을 활용하지 못하여 트림, 복부팽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음식을 천천히 씹은 후 식사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30/2018103002465.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