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 이후 수술까지 대기하는 기간이 한달 이상인 위암 환자가 2013년 27%에서 2017년 37%로 증가해 암환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더불어민주당 김상희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 달이 지나 수술을 받은 위암 환자가 2007년 36%에서 2013년 27%로 감소했지만 작년에는 다시 37%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특히 광주, 전남, 경북, 강원 등 지역이 최근 몇 년 사이 ‘한 달 이상 대기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병원 위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연관돼 있다는 지적 또한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영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경우 2000년대 초반부터 이러한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암 계획을 수립했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영국은 2018년 2월 기준 암환자의 97.6%가 치료 결정 후 31일 이내에 치료 받았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이러한 노력은 꾸준한 모니터링과 암환자의 치료까지의 대기기산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역암센터가 존재하고 생긴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수도권 솔림 현상과 환자 대시기간을 줄이지 못하고 있다. 암센터는 지난 2010년부터 전국 1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위암환자 코호트 연구’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자료만 축적되었을 뿐, 이 자료를 전혀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상희 의원은 “우리나라의 암 생존율이 70%에 이르고 있지만 선진국처럼 암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는 부재하다”며 “현재 암환자 등록사업이 존재하지만 암진단 환자를 등록하고 완치 일자 혹은 사망 일자를 체크하는 것이 전부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도 암환자들의 통증과 불안을 해소하고 수술대기기간을 파악해 수술대기기간을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 방안이 필요하다”며 “권역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을 국립암센터와 복지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yjun89@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72203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젊은층 공격 `미만형 위암` 호발 유전자 발견… 표적치료 가능성 제시 (0) | 2018.10.30 |
---|---|
[스크랩] 위암환자 표적치료 가능한 융합유전자 발견 (0) | 2018.10.30 |
[스크랩] 노인 절반이 만성위염… 癌 진행 막으려면? (0) | 2018.10.18 |
[스크랩] 운동 등 활발한 신체 활동 위암 위험 절반으로 줄인다 (0) | 2018.10.14 |
[스크랩] 대한암학회, 위암 환자 초청 ‘톡투위암’ 콘서트 개최 (0) | 2018.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