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치료 어디까지 왔나
췌장암은 워낙 악독한 암이라 '췌장암 진단=사망 선고'로 여겨진다. 한국인 10대 암 중에 5년 생존율이 10.8%로 가장 낮다. 최근 췌장암에도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암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과 신약 개발이 중요한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CT 해상도 높아지면서 조기발견율 늘어"
췌장암은 암 크기가 2㎝ 이하로 작을 때 발견해야 수술이 가능하고,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수술이 가능한 1기 췌장암의 경우는 5년 생존율이 30~40% 된다. 2기는 20~30%, 3기는 10%,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4기는 2% 미만으로 크게 낮아진다. 그렇지만 2㎝ 이하로 작은 암은 잘 보이지 않는다. 다행히 최근 CT의 경우 해상도가 좋아져 조기 발견율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대병원 췌장담도암센터 류지곤 교수는 "CT는 췌장암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검사 장비"라며 "화질이 좋아져 2㎝ 이하의 작은 암의 발견율이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 환자에게 당장 적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검사로 췌장암을 조기 진단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연세암병원 췌장담도암센터 방승민 교수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CT를 찍을 수 없기 때문에 혈액이나 소변으로 간단하게 췌장암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웨덴 룬드대학병원 암센터 연구팀은 스웨덴·미국의 췌장암 환자들로부터 종양조직을 채취하고, 췌장암 환자로부터 췌장암과 관련이 있는 29가지 표지자를 선별했다. 연구팀은 "정확도가 96%"라며 "CT 검사로 발견하기 훨씬 전에 종양의 발생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혈액 검사 같은 췌장암 조기발견에 확실한 검사법이 개발되면 췌장암은 더 이상 어려운 암이 아니며, 생존율은 크게 올라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효과 좋은 항암제 잇따라 나와
췌장암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효과적인 항암제가 없었던 이유도 컸다. 류지곤 교수는 "20년 간 젬시타빈이라는 약제를 써왔지만, 약에 반응이 없는 환자가 90%나 됐고, 생존기간도 0.7개월 연장하는 데 불과했다"고 말했다. 최근 췌장암 분야에서도 새로운 항암제가 등장했다. '아브락산'이라는 약인데, 2년 전 국내 도입돼 사용하고 있다. 아브락산과 젬시타빈을 같이 쓰면 4기 췌장암 환자의 생존 기간이 2배 가까이 연장된다. 또 4개의 항암제를 함께 쓰는 폴피리녹스 요법 역시 2013년부터 생존 기간 연장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방승민 교수는 "전이성 췌장암은 진단 후 생존 기간이 길어야 6개월인데, 지금은 평균 11~12개월 간 생존할 수 있게 됐다"며 "전이성 췌장암은 완치보다는 '장기 생존'을 목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획기적인 발전"이라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전이성 췌장암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젬시타빈+아브락산' 항암제를 투여한 결과, 생존 기간 중앙값은 12.1개월이었다. 항암제 반응률은 46.9%로 기존 항암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기 암에서도 수술 시도 늘어
췌장은 주변에 큰 동맥이 지나가는데, 그 동맥에 암세포가 들러붙어 있으면 수술이 어렵다. 이런 상태를 3기인 '국소 진행성 췌장암'이라고 한다. 최근 3기에서도 암의 크기를 줄여 수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류지곤 교수는 "폴피리녹스 요법 등을 시행하면 동맥에 전이된 암세포가 없어지고 암 크기가 줄어 수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 할 정도로 크기가 줄지 않으면 전기천공술 등 다른 치료법을 시도한다. 전기천공술은 암 덩어리에 전기바늘을 4~6개를 꼽은 뒤 고압 전류를 흘려보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수술법이다. 항암제와 고선량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하기도 한다. 항암제에 노출된 암세포는 방사선에 민감해 더 잘 죽는다.
◇여러 치료 잘 견딜만한 면역력 중요
췌장암의 여러 치료법 시도되고 있어도 환자가 이런 치료를 견딜만한 체력과 면역력이 없으면 효과를 못 본다.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윤원재 교수는 "항암요법 등으로 빌빌거리는 암세포를 죽이는 것은 결국 환자의 면역세포"라며 "면역세포의 건강을 위해서는 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췌장암에서 살아남는 환자들의 공통점도 암을 이겨내려는 의지와 희망적인 생각이라고 의사들이 입을 모아 말한다. 췌장암 고위험군은 ▲장기 흡연자 ▲고령 ▲당뇨병을 30년 이상 앓은 사람 ▲췌장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 등이다. 방승민 교수는 "50세 이후 갑자기 없던 당뇨병이 생긴 사람은 3년 안에 췌장암이 생길 위험이 높다는 최신 연구가 나온 만큼, 이런 경우 검사를 잘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7/2018092703323.html
◇"CT 해상도 높아지면서 조기발견율 늘어"
췌장암은 암 크기가 2㎝ 이하로 작을 때 발견해야 수술이 가능하고,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수술이 가능한 1기 췌장암의 경우는 5년 생존율이 30~40% 된다. 2기는 20~30%, 3기는 10%,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4기는 2% 미만으로 크게 낮아진다. 그렇지만 2㎝ 이하로 작은 암은 잘 보이지 않는다. 다행히 최근 CT의 경우 해상도가 좋아져 조기 발견율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대병원 췌장담도암센터 류지곤 교수는 "CT는 췌장암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검사 장비"라며 "화질이 좋아져 2㎝ 이하의 작은 암의 발견율이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 환자에게 당장 적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검사로 췌장암을 조기 진단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연세암병원 췌장담도암센터 방승민 교수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CT를 찍을 수 없기 때문에 혈액이나 소변으로 간단하게 췌장암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웨덴 룬드대학병원 암센터 연구팀은 스웨덴·미국의 췌장암 환자들로부터 종양조직을 채취하고, 췌장암 환자로부터 췌장암과 관련이 있는 29가지 표지자를 선별했다. 연구팀은 "정확도가 96%"라며 "CT 검사로 발견하기 훨씬 전에 종양의 발생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혈액 검사 같은 췌장암 조기발견에 확실한 검사법이 개발되면 췌장암은 더 이상 어려운 암이 아니며, 생존율은 크게 올라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효과 좋은 항암제 잇따라 나와
췌장암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효과적인 항암제가 없었던 이유도 컸다. 류지곤 교수는 "20년 간 젬시타빈이라는 약제를 써왔지만, 약에 반응이 없는 환자가 90%나 됐고, 생존기간도 0.7개월 연장하는 데 불과했다"고 말했다. 최근 췌장암 분야에서도 새로운 항암제가 등장했다. '아브락산'이라는 약인데, 2년 전 국내 도입돼 사용하고 있다. 아브락산과 젬시타빈을 같이 쓰면 4기 췌장암 환자의 생존 기간이 2배 가까이 연장된다. 또 4개의 항암제를 함께 쓰는 폴피리녹스 요법 역시 2013년부터 생존 기간 연장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방승민 교수는 "전이성 췌장암은 진단 후 생존 기간이 길어야 6개월인데, 지금은 평균 11~12개월 간 생존할 수 있게 됐다"며 "전이성 췌장암은 완치보다는 '장기 생존'을 목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획기적인 발전"이라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전이성 췌장암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젬시타빈+아브락산' 항암제를 투여한 결과, 생존 기간 중앙값은 12.1개월이었다. 항암제 반응률은 46.9%로 기존 항암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기 암에서도 수술 시도 늘어
췌장은 주변에 큰 동맥이 지나가는데, 그 동맥에 암세포가 들러붙어 있으면 수술이 어렵다. 이런 상태를 3기인 '국소 진행성 췌장암'이라고 한다. 최근 3기에서도 암의 크기를 줄여 수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류지곤 교수는 "폴피리녹스 요법 등을 시행하면 동맥에 전이된 암세포가 없어지고 암 크기가 줄어 수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 할 정도로 크기가 줄지 않으면 전기천공술 등 다른 치료법을 시도한다. 전기천공술은 암 덩어리에 전기바늘을 4~6개를 꼽은 뒤 고압 전류를 흘려보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수술법이다. 항암제와 고선량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하기도 한다. 항암제에 노출된 암세포는 방사선에 민감해 더 잘 죽는다.
◇여러 치료 잘 견딜만한 면역력 중요
췌장암의 여러 치료법 시도되고 있어도 환자가 이런 치료를 견딜만한 체력과 면역력이 없으면 효과를 못 본다.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윤원재 교수는 "항암요법 등으로 빌빌거리는 암세포를 죽이는 것은 결국 환자의 면역세포"라며 "면역세포의 건강을 위해서는 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췌장암에서 살아남는 환자들의 공통점도 암을 이겨내려는 의지와 희망적인 생각이라고 의사들이 입을 모아 말한다. 췌장암 고위험군은 ▲장기 흡연자 ▲고령 ▲당뇨병을 30년 이상 앓은 사람 ▲췌장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 등이다. 방승민 교수는 "50세 이후 갑자기 없던 당뇨병이 생긴 사람은 3년 안에 췌장암이 생길 위험이 높다는 최신 연구가 나온 만큼, 이런 경우 검사를 잘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27/2018092703323.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종류별 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갑자기 찾아온 당뇨병, 췌장암 의심 신호일 수도 (0) | 2018.10.14 |
---|---|
[스크랩] 췌장암의 모든 것 (0) | 2018.10.11 |
[스크랩] 악명 높은 췌장암, 조기 발견에 도움되는 습관들 (0) | 2018.09.26 |
[스크랩] 가장 생존율이 낮은 췌장암의 초기증세 (0) | 2018.09.26 |
[스크랩] ‘췌장암’ 혈액검사법 개발…조기 진단 문 열릴까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