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당뇨교실

[스크랩] 공복혈당 변화 크면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8. 8. 29.

이경실 교수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중앙대병원 제공

공복혈당 변화가 크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뇌심혈관계질환 발생위험이 크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팀과 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 연구팀(공동1저자 김성민 연구원)의‘공복혈당 변화에 따른 심근경색, 뇌졸중 및 사망 위험'이란 논문이다.

이경실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이 없는 40세 이상의 한국 성인 26만487명을 대상으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 관찰했다.

공복혈당이 100mg/dL 미만인 경우 정상이며, 100~126mg/dL인 경우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를 의심할 수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정상, 공복혈당장애, 당뇨의심과 같은 각각의 공복혈당검사 결과가 2년 후에 어떻게 변화했느냐에 따라 10년 뒤 심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2년 간격으로 2번의 국가건강검진에서 모두 공복혈당이 정상으로 나온 사람에 비해, 정상이었다가 당뇨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은 8년 뒤에 뇌졸중 위험이 약 20%, 총 사망위험은 56% 상승했다.

또한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판정을 계속 받은 사람에 비해. 공복혈당장애에서 2년 뒤에 당뇨의심 판정을 받은 사람은 심근경색 위험이 65%, 총 사망 위험이 16% 상승했다.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한 시점에서의 공복혈당과 심혈관위험도를 보는 연구들은 일부 있었지만,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혈당치 변화가 뇌심혈관계질환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 명확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당뇨가 없는 일반인라고 하더라도 혈당이 높아질 경우 추후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7/2018082702319.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