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으로 보는 건강
기온이 올라가면서 땀도 많이 나기 시작한다. 땀을 잘 살펴보자. 땀을 통해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정상적인 땀은 투명하다. 땀에 색깔이 있다면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콩팥 기능이 떨어졌거나 몸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옅은 노란색을 띠는 땀이 날 수 있다. 자고 일어났는데 베개나 옷에 노랗게 땀이 배어 있는 경우 등이다. 드문 경우지만 갈색이나 녹색 땀이 나기도 한다. 간 기능이 떨어진 간부전 환자는 손·발바닥에서 담즙이 섞여 나와서 갈색이나 녹색 땀이 나기도 한다. 땀에 색깔이 있는 사람은 병원에 가서 질환이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컨디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질환으로 인해 땀에 색깔이 나오는 것이라면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된다.
노란색, 녹색, 푸른색, 검푸른색, 갈색 등의 색깔이 나타나기도 한다. 겨드랑이, 생식기, 항문 등에 있는 땀샘인 아포크린샘이 변형됐거나 지질대사에 이상이 있을 때 이러한 땀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항생제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속옷이 착색되는 것 외에 별다른 문제는 없다.
냄새도 중요한 지표다. 땀에는 냄새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온몸에 분포돼 있는 수백만 개의 에크린선에서 나는 땀은 90% 이상이 수분이다. 다만 겨드랑이, 생식기 등에서 땀이 날 때 는 냄새가 약간 나기도 한다. 이러한 부위에는 에크린선뿐만 아니라 아포크린선도 같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포크린선에서 분포되는 땀에는 단백질, 지방산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체외로 배출될 때 냄새가 약간 날 수 있다.
악취가 나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힘든 경우에 는 액취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액취증은 주로 겨드랑이, 생식기 주변에 분포한 땀샘인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 표면에 있는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냄새가 난다. 드물지만 에크린샘에 의해 액취증이 생기기도 한다. 땀이 너무 많이 나서 물러진 피부 각질층에 세균 또는 진균이 작용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크린 액취증은 주로 발바닥에 많이 난다. 액취증이 있는 경우 세균 및 진균 감염이 있을 때 이를 먼저 치료하고, 땀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국소요법을 사용하기 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비누로 자주 씻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는 것도 도움이 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25/2018052501967.html
'질병 > 콩팥병,부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7월 건강똑똑, 신장질환 궁금증 풀어드립니다 (0) | 2018.06.12 |
---|---|
[스크랩] 부기가 건강을 알려준다? 눈은 신부전, 다리는 혈전 의심 (0) | 2018.06.10 |
[스크랩] 암중모색/암환자의 수술 후 부종 관리 (0) | 2018.05.25 |
부종 (0) | 2018.05.15 |
[스크랩] 다리 굵게 만드는 `발목 부종`… 어떻게 없앨까? (0) | 2018.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