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서경석, 이광웅, 이남준, 홍석균 교수)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이 200례를 돌파했다. 세계 최초 기록이다.
서울대병원은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을 2015년 11월 처음 시행한 이래 지난 4월 30일 200번 째 수술이 이뤄졌고, 환자가 17일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밝혔다.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은 기증자의 수술 후 회복을 고려한 수술법이다. 환자는 대단히 만족하는 방법이지만 고도의 기술의 요구되며, 불편하고 복잡해 여전히 많은 병원이 개복수술로 시행하고 있다.
200번째 복강경 간수술의 기증자 김난영씨는 남편에게 기증한 사례다. 김씨는 “생각보다 수술이 빨리 끝나 놀랐다"며 "남편이 건강하게 회복된 것이 가장 기쁘지만 나 역시 빠른 회복과 함께 눈에 띄는 흉터가 남지 않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대병원 간이식 팀은 전체 공여자 85% 이상을 복강경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가장 까다롭다는 우간 절제술이 94% 이상이다. 초기 수술시간은 7~8시간 가량이었으나 최근에는 평균 4시간으로 개복 수술과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됐다. 김씨의 경우 총 수술 시간이 3시간 미만이었고, 출혈량이 적어 간수치 증가폭도 적었다.
이번 세계 최초 기록과 결과는 세계 유명 학회지 논문을 통해 알려졌다. 이후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호주, 카자흐스탄, 미얀마 등 수많은 나라에서 서울대병원의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을 배우기 위해 방문하고 있다.
독보적인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 절제술의 기술 전수를 위해 서경석 교수는 직접 인도에 가서 라이브 시연을 했다. 또한 이광웅 교수는 러시아 독립국가연합에서는 최초로 카자흐스탄에서 순수 복강경 공여자 수술 4건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홍석균 교수는 이 술기의 우수한 성적을 여러 논문으로 발표해 2018년 세계이식학회에서 ‘라이징스타(Rising Star)’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광웅 교수(간담췌외과분과장)는 “수술 후 회복 기간이 줄고 상처가 적어 환자 만족도가 상승했으며, 수술 시간도 점점 줄어 기존 개복과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앞으로 거의 모든 공여자에게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법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7/2018051702214.html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울대병원, 복강경 간이식 수술 최초 200례 돌파 (0) | 2018.05.25 |
---|---|
[스크랩] 고려대 로봇수술센터를 소개합니다!! (0) | 2018.05.25 |
[스크랩] `50대 여의사` 수술 결과 제일 좋다 (0) | 2018.05.08 |
[스크랩] 췌·십이지장 수술은 로봇수술이 효과적?! (0) | 2018.04.25 |
[스크랩] “수술 후 통증 관리, 비마약성 진통제가 대안 될 수 있을 것” (0) | 2018.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