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건강기능식품

[스크랩] 탄력 사라진 피부, 저분자 콜라겐으로 채워볼까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8. 3. 7.

피부 푸석거림, 콜라겐 부족 신호
폐경·자외선·흡연이 콜라겐 파괴… 저분자 형태, 피부 건강 기능 인정

건강기능식품
피부 속 콜라겐 단백질이 부족하면 피부 탄력이 떨어지면서 깊은 주름이 생긴다. 콜라겐 흡수에 도움을 주는 콩·녹차를 먹거나 저분자 콜라겐이 든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게 좋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피부가 눈에 띄게 푸석푸석해지고 탄력이 사라졌다면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이 부족한 건 아닌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피부는 표피층·진피층·피하조직(지방층) 3층 구조로 구성돼 있다. 표피층에는 각질을 만드는 세포,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 면역세포가 있다. 이 세포들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이 부분이 무너지면 피부색이 검게 변하고 각질이 생겨난다. 가장 안쪽에 있는 피하조직은 피부의 원래 부피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방층이 노화 등으로 얇아지면 잔주름이 잘 생긴다.

문제는 진피층이 무너졌을 때다. 진피층은 콜라겐·엘라스틴·히알루론산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90%가 콜라겐 단백질이다. 콜라겐 단백질은 피부가 본래의 모양과 단단함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쉽게 말해서, 피부를 유지하는 뼈대 역할을 한다. 진피층에 콜라겐이 부족해지거나 손상되면, 피부 모양이 붕괴돼 깊은 주름이 생기고 피부가 푸석해지면서 탄력을 잃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콜라겐이 부족하면 주름이 생긴다고 알고 있지만, 주름이 생기기 전 피부 조직이 무너지면서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피부 당김이 먼저 나타난다. 모발도 콜라겐 영향을 받는다. 진피층에 콜라겐이 풍부해야 모발도 풍성하게 자랄 수 있다. 차의과학대 식품생명공학과 이부용 교수는 "진피층 속 콜라겐이 부족해지면 피부 속 수분이 부족해지고, 피부가 늘어져 전반적인 피부 탄력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말했다.

◇여성 폐경 이후 몸속 콜라겐 30% 손실

콜라겐 단백질은 20대부터 매년 1%씩 감소한다. 40대가 되면 20대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특히 여성은 폐경 이후 5년 안에 몸속 콜라겐 30%가 손실된다. 콜라겐 감소는 노화뿐 아니라 자외선·흡연·폐경에도 영향을 받는다. 자외선A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콜라겐을 파괴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담배를 피우면 몸속에 활성산소(세포를 손상시키는 산소)가 많아져 콜라겐이 분해된다. 또한 폐경이 되면 에스트로겐 호르몬 분비가 줄어 콜라겐이 합성되지 않는다.

◇콜라겐 합성·유지에 도움되는 식품도 있어

콩, 녹차, 카카오는 몸속 콜라겐 합성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 국내 한 대학병원 피부과 교수팀이 콩이 피부 노화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쥐에게 콩 추출물을 6개월간 먹인 후 관찰했는데, 쥐의 피부세포에 콜라겐과 피부 탄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력 섬유가 늘어났다. 녹차의 주요 성분인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카카오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역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동을 차단한다.

◇저분자 콜라겐, 흡수 빨라 피부 탄력에 도움

보다 확실하게 피부 속 콜라겐을 채우기 위해서는 흡수가 빠르고 용이한 '저분자 콜라겐'을 담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면 된다. 저분자 콜라겐은 피부 속 콜라겐과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피부, 뼈, 연골 등에 빠르게 흡수된다. 지난 2013년에 중앙대병원 피부과 연구에 따르면, 저분자 펩타이드 형태의 콜라겐을 섭취하면 얼굴 피부 탄력에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저분자 펩타이드 형태의 콜라겐이 피부 보습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정했다. 또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저분자 콜라겐을 담은 제품을 먹도록 한 후 12주간의 변화를 살핀 결과, 6주부터 피부 보습, 12주부터 탄력, 주름 개선이 확인됐다. 하지만 피부 속 콜라겐을 늘리겠다고 족발이나 닭발을 먹는 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음식에 든 콜라겐은 고분자 펩타이드 형태라서 위장에서 분해돼 나머지는 몸 밖으로 배출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5/2018030501571.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