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현정석 기자] 우리나라 성인의 80~90%는 비타민 D 부족 또는 결핍 상태라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천안 라마다 앙코르호텔에서 열린 대한갱년기학회 동계 워크샵에서 `비타민 D 어떻게 해야 목표에 도달할까? 햇빛과 음식만으로도 가능할까?`를 강의한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황희진 교수[대외(진료)협력센터장·건강증진센터장]는 이같이 지적하고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황 교수에 따르면 비타민 D는 뼈 건강 뿐만 아니라, 낙상 방지, 비특이적 근골격계 통증, 자가면역 질환, 일부 암, 심장질환, 사망률, 인지기능, 구강 건강, 우울증에도 좋은 영향을 끼친다.
혈중 비타민 D 농도는 최소 30 ng/ml 이상이 되어야만, 뼈 건강 및 부가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데, 특히 일부 암에서 발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을 받으려면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40-60 ng/ml 은 유지해야 한다.
비타민 D 수용체가 거의 모든 조직, 세포에서 발편해서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남성 86.8%, 여성 93.3%가 비타민 D 농도 30ng/ml 미만으로 나타났고, 특히나 젊은 층에서 부족이 더 심했다.
황 교수는 "비타민 D 부족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햇빛만 쐬면 충분하지 않냐는 질문을 하지만, 실제로 농업에 종사하는 분들도 비타민 D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기상청에서 발간한 기상기술정책 2010년 12월호에 실린 논문을 인용하여 북위 35도 이상 지역의 겨울(10월에서 3월)에는 비타민 D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외선이 지표에 거의 도달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으로는 대구 간유, 연어, 고등어, 참치, 정어리, 우유, 계란, 캐비어, 버섯이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이나 영양제로도 많이 출시되어 있다. 다만 비타민 D가 지용성 비타민이라 식전 경구 복용시 장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고, 식사시 분비되는 담즙산이 양에 따라 흡수 정도가 비례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주사제를 연 2~4회 투여 받는 것이 좋다.
헬스코리아뉴스 현정석 기자 admin@hkn24.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32098
'암치유에 도움 >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타민D` 높거나 낮으면 심혈관 사망 위험 높아 (0) | 2018.03.04 |
---|---|
[스크랩] `칼슘` 보충제 꾸준히 먹다 `대장암` 걸릴라? (0) | 2018.03.04 |
[스크랩] 식약처, 자일리톨 등 기능성 원료 재평가 추진 (0) | 2018.02.27 |
[스크랩] [정재훈의 비타민 이야기] `유전자 스위치` 켜고 끄는 비타민D (0) | 2018.02.25 |
[스크랩] 2~3월에 결핍되기 쉬운 `비타민D`…골다공증·근육통·우울증 유발하기도 (0) | 2018.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