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음주를 하는 폐경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근감소증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충북대병원 임형지, 강희택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해 20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폐경 여성 2,373명의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AUDIT)’ 점수를 통해 음주 행태에 따른 근감소증 발생률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저위험 음주군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7.6%, 중위험군은 11.0%, 고위험군은 22.7%로 고위험군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연구팀이 여러 관련 요인들을 보정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고위험 음주군은 저위험 음주군에 비해 근감소증 위험도가 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는 음주 관련 10가지 문항에 대해 0~4점까지 점수를 매겨 평가한다. 지난 1년간 개인이 경험한 음주의 빈도와 양을 측정하기 위해 해로운 음주에 관한 질문 3문항, 알코올 의존 증상인 내성 및 금단의 유해한 사용에 관한 질문 3문항, 위험한 음주와 관련된 질문 4문항으로 구성돼 있으며, 연구팀은 15점 이상을 고위험 음주로 분류했다.
연구를 진행한 권유진 교수는 “폐경 후 성호르몬이 줄어들면 근력 감소 및 체지방량 증가로 인해 각종 신체기능의 저하 및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당뇨병 등의 위험이 커진다”며 “음주가 근감소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만큼 폐경 후 고위험 음주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9월 국제학술지 폐경(menopause)지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0/2017112001368.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증상 호전 땐 항생제 끊어라" VS. "처방약 다 먹어야" (0) | 2017.11.23 |
---|---|
[스크랩] 밤에 먹으면 살찌고, 낮에 다친 상처가 빨리 낫고… 비밀은 `생체시계` (0) | 2017.11.23 |
[스크랩] 입맛 없다고 김치 하나로 밥 먹는 부모님, 건강은 괜찮을까? (0) | 2017.11.22 |
[스크랩] 중년 男에 많은 `치질`, 과음·잘못된 배변습관이 원인 (0) | 2017.11.19 |
[스크랩] 귓불에 주름있고 자주 화내는 부모님, `이것` 위험 신호 (0) | 2017.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