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호준 스탠포드 의대 종양학과 연구교수 |
하지만 이 치료법이 모든 사람한테 효과가 있는 건 아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암에 다수의 돌연변이 유전자가 존재하는 환자들의 경우 이 치료법에 효과가 있다. 대체로 피부암, 폐암 등에서 다수의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경우다.
즉 피부암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다수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폐암의 경우, 흡연을 통해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많이 생긴다. 일부 대장암에서도 다수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을 꽤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다수의 돌연변이가 없는 암 환자들은 면역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일까? 최근엔 다수의 돌연변이가 없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회사들이 늘고 있다. 가령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있는 애두로(Aduro)라는 회사에서 박테리아를 이용해 환자의 면역시스템을 자극해 활성화하는 새로운 방식의 면역 치료법을 개발했다. 암 세포에만 존재하는 표적을 넣어서 만든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원리다. 이렇게 만든 박테리아를 환자의 혈관에 투입하면 면역 시스템이 박테리아를 공격한다. 이와 동시에 면역 시스템이 표적 또한 인식해 암 세포를 공격하는 환자 맞춤형 면역치료다.
이처럼 맞춤형 면역치료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옳은 표적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 최근 각광받는 방법은 환자의 암 조직에서 얻은 DNA를 통해 암 세포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찾은 뒤, 동일한 조직에서 구한 RNA 데이터를 이용해 실제로 몸에 많이 존재하는 돌연변이들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최근엔 본인을 포함한 스탠퍼드 의대 종양학과 연구팀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환자가 가지고 있는 면역 시스템이 인식하는 돌연변이도 찾아준다. 즉 환자마다 본인의 면역 시스템이 돌연변이를 인식하는 방식이 다르고, 모든 돌연변이를 인식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치료를 받는 환자의 면역체계가 인식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 근래만 해도, 우리는 암을 단지 하나의 질병으로 생각했었지만, 유전자 분석을 통해 한 명의 환자에 성질이 다른 3, 4개의 암 덩어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를 ‘종양 내 이질성’이라고 부른다. 어떤 돌연변이는 첫 번째 암 덩어리에서 생긴 것이고 또 다른 돌연변이는 두 번째 암 덩어리에서 생긴 것이다. 즉, 한 명의 환자 안에 존재하는 성질이 다른 암 조직들을 공격하기 위해서 각각의 암 덩어리에서 나온 돌연변이들을 골고루 잘 섞어서 표적을 선택할 수 있는 분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 이러한 유전자 분석 기술은 다수 돌연변이 유전자가 없는 환자들까지도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맞춤형 면역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이호준 스탠포드 의대 종양학과 연구교수
http://media.daum.net/life/health/wellness/newsview?newsId=20171025030557506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중모색/암을 과소 평가하지 마세요 (0) | 2017.11.01 |
---|---|
[스크랩] 암중모색/ 과호흡 증후군에 관하여 (0) | 2017.10.30 |
[스크랩] “치아 건강, 암 발생과도 관련 있다” (0) | 2017.10.25 |
[스크랩] 암중모색/항암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식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0) | 2017.10.22 |
[스크랩] 한국인은 소주 1∼2잔에도 암 위험.."절주보다 금주해야" (0) | 2017.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