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종양 주변의 면역세포가 종양의 진화 및 항암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11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따르면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난치암연구사업단의 남도현 교수팀은 미국 잭슨랩의 로엘 버락 교수팀 및 미국 엠디앤더슨 암센터의 에릭 술만 교수팀과 협력해 수행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교모세포종은 뇌종양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암으로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단 후 기대 생존기간이 1년여에 불과한 난치성 암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교모세포종의 암조직, 환자유래세포, 종양 단일세포의 유전체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종양 세포와 주변 미세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양이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 후 항암내성을 획득하여 진화하는 과정에 종양 주변의 면역세포가 관여됨을 밝혔다.
특히 종양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종양주변 미세환경의 면역세포 중 M2대식세포의 발현이 많아질수록 방사선 치료에 저항성이 높아지고, CD8+ T세포의 발현이 많아질수록 항암제 치료에 의한 과돌연변이가 유도되어 항암제 치료에 대한 내성이 발생함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이는 면역세포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내성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기존의 표준 치료법과 면역 미세환경을 조절하는 면역 치료의 병용(倂用) 요법이 뇌종양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라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남도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의 종양 진화와 관련한 유전체 기반 표적치료에 면역 미세환경 조절 치료제를 병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난치 질환인 뇌종양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암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캔서셀’ 인터넷판에 7월 10일자로 우선 게재되었다. 이번 연구는 복지부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pyngmin@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93522
'종류별 암 > 뇌종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JW크레아젠, 교모세포종 치료제 식약처 임상1/2상 승인 (0) | 2017.08.03 |
---|---|
[스크랩] 국내 연구진, 뇌종양 수술 핵심 TIP 담은 Active e-book 발간 (0) | 2017.07.16 |
[스크랩] 중앙대병원, ‘뇌종양 이야기 건강강좌’ 개최 (0) | 2017.05.14 |
[스크랩] 알코올의존증치료 소아악성뇌종양에 효과 (0) | 2017.04.17 |
[스크랩] 구충제로 뇌종양을 치료한다고? (0) | 201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