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대장암

[스크랩] 갑자기 배변습관과 대변에 변화생겼다면? `이것` 의심해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7. 7. 11.

평소와 다르게 혈변이나 점액변, 설사 등을 본다면, 대장 문제를 의심해야 한다. 특히 점액변이나 흑색변, 최근 배변 습관의 변화(정상적인 변을 보던 사람이 점차 설사나 변비 증상), 이유 없는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됐다면 이는 '대장암' 중에서도 직장암을 의심해야 한다.

직장암의 원인은 일반적인 대장암과 같이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높은 열량의 섭취, 동물성 지방 섭취, 섬유소 섭취 부족, 비만 등이 직장암의 발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장암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암이 자라면 변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과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흔하게 생기며, 식욕부진과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도 있다. 대변보는 습관의 변화로 변을 참기가 힘들거나 변을 본 다음에도 다시 보고 싶어지는 후증기도 동반될 수 있고, 암이 진행하게 되면 통증도 생긴다. 지난 2016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를 보면 2014년 국내에서 21만7057건의 암이 발생했다. 그 중 대장암은 2만6978건으로 전체의 12.4%로 3위를, 직장암은 1만1700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5.4%를 차지했다.

암이 진행하는 경우 직장주변의 방광, 여성의 경우 질, 주변 신경으로 전이돼 아랫배의 통증이나 질 출혈도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증상만으로는 치질 등의 다른 질환과 구별이 안되므로 전문의와 상담하고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직장암의 확진은 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검사를 통해 암세포를 발견한다.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로는 직장수지검사, 대변검사, 대장 조영술, CT 또는 MRI검사, 혈액검사 등이 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외과 김지훈 교수는 “직장암은 골반 깊숙이 숨어 있고, 수술 시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수술이 정확하게 이뤄지려면 의료진이 직장 주변의 해부학을 잘 이해해야 한다”며 “여성은 자궁, 질 남성은 전립선, 방광, 정낭 등 많은 장기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배뇨작용과 성기능 관련된 신경도 모여 있어서 이것들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술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고 말했다.

또한 직장암 수술 시 직장간막을 잘 제거해야 한다. 직장간막에는 직장에서 시작한 암세포가 퍼져 있을 수 있으므로, 직장암 수술 중 직장과 함께 직장간막을 제거 할 때 바깥쪽에 있는 막을 터뜨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막을 터뜨리면 암세포가 흘러나와 수술 후 재발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직장암 수술에서 항문을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다. 항문이 없으면 평생 인공항문을 통해 배설주머니를 차고 다녀야 한다.

직장암 수술의 치료 결과와 완치는 정밀한 수술이 좌우한다. 배에 구멍 몇 개만 뚫고 진행하는 로봇과 복강경 수술은 배를 많이 열지 않고도 미세한 수술이 가능하다. 배에 뚫은 구멍을 통해 수술 부위를 몇 배 이상 확대해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는 카메라를 넣고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점을 통해 항문과 성기능 배뇨기능을 살리는 비율이 높아졌다. 더 나아가 로봇수술은 특수카메라가 전송하는 10배 확대된 3차원 영상을 보며 로봇 팔을 조정해 수술한다. 로봇 팔은 손 떨림이 없고, 540도 회전이 가능해 정교하고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다. 골반 때문에 시야가 좁고 항문과 근접한 직장암을 세밀하게 수술할 수 있어 항문에서 8cm 미만 거리에 발생한 저위직장암을 로봇으로 수술하면 항문 보존률이 95% 이상에 이른다.

최근에는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유전자 패널검사를 통해 환자 개인별 맞춤 암치료가 가능해 졌다. NGS검사는 환자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유전자 변이로 인한 질환을 진단하고, 각 개인에게 잘 맞는 치료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기법이다.  NGS 검사를 통해 대장암의 유전자 변이부위를 한꺼번에 분석함으로써 검사시간의 단축 및 개인 맞춤형 치료를 통한 치료제(약물)에 대한 반응이 예측 가능해져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0/2017071001295.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